(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미국의 금리 인상과 대규모 감세안에 중국이 수세에 몰렸다.

미국이 지난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1.25~1.50%로 25bp 인상하자 다음날 인민은행이 마지못해 금리를 5bp 올리더니 이제는 감세까지 고려하는 분위기다.

14일 증권시보에 따르면 마오성용(毛盛勇)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최근 몇 년간 중국은 감세와 비용 감소 정책을 추진해 기업의 부담을 2조위안 가량 줄였다"며 "그러나 기업이 느끼는 세금·각종 비용의 부담은 여전히 커 중국은 앞으로도 더 세금을 낮추고 비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오 대변인은 국가통계국의 입장이 미국의 영향을 받았음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미국은 최근 대차대조표 축소, 세제 개편, 한 해 3번의 금리 인상 등 정책을 시행했다"며 "이런 정책은 전 세계에 일정한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우려하는 바는 자본 유출이다. 미국이 법인세를 내려 사업 환경을 개선하고, 금리 인상으로 자본 수익을 높여주면 기업과 투자금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재빠른 금리 인상으로 겉으로 평온한 것처럼 보였던 중국이 사실은 수면 아래서 물갈퀴를 정신없이 젓고 있는 오리였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4일 미국의 금리 인상과 감세로 자본 유출을 우려하는 국가들이 있다며 "일부 경제체들이 우려하는 상황이 현실이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가오 대변인은 조세 제도는 기업의 경영에 한 가지 요소일 뿐이라며 중국은 여전히 투자 매력이 있는 나라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중국 상무부 산하 국제시장연구소 바이밍(白明) 부소장은 일부 국가들이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경쟁적으로 감세에 나설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미국의 감세안과 금리 인상이 각각 기업 등 실물 경제 주체와 금융 자본의 유출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이 '공진(共振)효과'를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 부소장은 다만 해외 기업이 대규모로 중국에서 이탈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기업이 계속 성장하는 중국 시장의 기회를 놓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의 11월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는 전년 대비 90.7%나 증가했다. 상무부는 신설 기업 수의 증가로 해외 자금 유입이 늘었고, 대규모 프로젝트의 자금 집행과 정부의 해외 자금 유인 정책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