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정부가 올해 국고채 인수기반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국고채전문딜러(PD)의 헤지 매도가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듀레이션이 긴 초장기물은 입찰을 전후로 PD의 헤지 포지션이 늘어나면서 변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10일 서울채권시장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전일 진행된 국고채 30년물 1조6천500억 원이 2.530%에 낙찰됐다. 응찰률은 325.2%를 나타냈다.

시장참가자들은 국고채 30년물이 장기투자기관 등 실수요가 유입되면서 호조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30년물 대차를 갚기 위한 수요도 적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금리 변동성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 채권시장이 쓸 수 있는 카드는 여러 가지다. 이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수단은 국채선물을 이용한 헤지나 해당 채권을 미리 빌려서 판 다음에 입찰을 통해 채권을 사서 갚는 것이다.

정부가 지난해 초장기물 발행비중을 크게 늘리면서 PD의 인수 부담이 커졌다. 이들은 초장기물 인수 불확실성을 헤지하기 위해 해당 물건을 빌려서 팔거나, 10년 국채선물을 매도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했다.

초장기물은 증권사나 은행이 보유하기에는 듀레이션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리상승이 예견되면서 정부는 안정적인 국고채 발행을 위해 인수기반을 강화하기로 했다. PD의 인수 업무를 강화하고, 평가 기준을 조정하기로 했다.

PD의 인수실적 인정 범위를 기존 300%에서 200%로 줄여서 PD의 실제 인수 물량을 높였다. PD는 그만큼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시장참가자들은 PD가 인수에 따른 손실을 방어하기 위해서 헤지 비중을 높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특히 PD가 담지 못하는 초장기물의 경우 헤지에 따른 금리 변동성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연합인포맥스 채권대차거래(화면번호 4561) 등에 따르면 전일 국고채 30년 지표물인 17-1호의 대차 잔량은 1조5천억 원에 달했다. 대차 잔량은 입찰을 전후로 변동성이 커진다.

전일 증권 계정의 10년 국채선물 순매도는 3천764계약이었다. 지난해 마지막 국고채 30년물 입찰이 있었던 11월 28일 3천804계약 매도 이후 가장 많다.

한 증권사 채권 딜러는 "정부의 PD 제도개선으로 초장기물의 경우 PD의 헤지 물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회사별로는 물량이 많이 늘어나지 않더라도 PD사 전체로 봤을 때 PD의 헤지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