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매도할 것이라는 우려에 미국 금융시장이 일대 혼란에 휩싸였다.

10일(현지시간) 한 주요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외환보유액 보유분을 검토하는 고위 정부 당국자들이 미 국채의 매입 속도를 늦추거나 매입을 중단하는 방안을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해당 권고안이 받아들여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매체는 전했다.



◇ 美·中 무역 갈등 속에 국채 매도설 제기

이번 조치는 미국의 대중(對中) 무역압박에 대한 맞대응일 가능성이 있어 실제 실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보도에 따르면 소식통은 미 국채는 다른 자산 대비 덜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미국과의 무역 긴장이 미 채권 매입을 늦추거나 중단하는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쪽으로 당국자들이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프리스의 워드 매카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무역압박을 강화할 경우 "중국 당국자들은 (국채 매도 등의 부문에서) 상당한 영향력이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려고 할 지 모른다"고 말했다.

중국은 미 국채 최다보유국으로 현재 미 국채 1조2천억 달러가량 보유하고 있다.

만약 중국이 미 국채를 내다 팔기 시작하면 이는 미 국채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소식은 최근 중국과 미국과의 무역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나와 채권시장의 매도 빌미가 됐다.

앞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금융계열사인 앤트 파이낸셜이 미국 송금회사 머니그램을 인수하려던 시도가 불발된 이후 1주일 사이 중국 스마트폰업체 화웨이의 미국 스마트폰 시장 진출 계획마저 무산되면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작년 미국이 중국에 대한 지식재산권 침해 조사한 이후 양국 간 무역 갈등은 점차 강화되고 있다.

당장 1월에 미 상무부의 철강 부문 반덤핑 조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며 미 업계에서는 오는 1월까지 태양광 패널과 세탁기 등에 대한 관세 부과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압박이 가중될 경우 중국이 보복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신화통신은 '중미 간 무역 긴장 통제가 필요하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이 자신의 길을 고수한다면 중국의 보복조치도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으름장을 놨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이 취할 보복조치 중 하나로 중국의 미 국채 매도를 꼽고 있다.



◇ 中 외환보유액 방어 위해 국채 매도…추가 매도는 제한적



중국은 2016년 자본유출이 강화되자 외환보유액을 활용해 위안화를 떠받치기 위해 미 국채를 대거 팔아치였다.

이에 따라 2016년 10월 중국은 세계 최대 미 국채 보유국 지위를 일본에 넘겨줬다. 2016년 한 해 동안 중국이 팔아치운 미 국채는 약 1천876억 달러에 달했다.

중국이 외환보유액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미 국채를 매도하면서 외환보유액도 2017년 1월 말 기준 2조9천982억 달러로 5년 11개월래 최저치를 경신했다.

당시 외환보유액이 3조 달러를 밑돌면서 중국의 미 국채 매도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이 자본유출 통제 등으로 위안화를 방어하기 시작하면서 외환보유액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중국은 작년 7개월 연속 미 국채를 매수해 다시 미 국채 최다보유국 자리를 탈환했으며 중국의 미 국채 매도 우려는 잦아들었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약 3조1천억 달러로 이중 3분의 1가량을 미 국채로 보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위안화가 강세로 전환된 데다 국채를 대체할 자산이 많지 않아 실제 중국이 미 국채를 대거 내다 팔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마크 윌리엄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위안화를 매도하다 다시 사들이기 시작한 것은 유동적인 자산으로서의 미 국채의 매력이 그만큼 강력하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미 국채 금리가 올라 달러화 가치가 오르면 중국은 또다시 미 국채를 매도해 위안화를 떠받쳐야 하는 악순환에 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민은행의 선택지는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많은 전문가는 이번 조치가 실제 행동으로 옮기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일종의 정치적 압박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냇웨스트 마켓츠의 존 브릭스는 이번 보도는 실제 정책의 변화보다 정치적 시그널일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 우려할 순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