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국내총생산(GDP) 대비 높은 가계부채 비중이 향후 경제성장을 제약할 수 있다고 국제결제은행(BIS)이 경고했다. 가계부채가 고공행진을 지속하는 국내의 정책 당국자들이 새겨들어야 할 조언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BIS는 지난 25일(현지시각) 발간한 연례보고서에서 "가계부채 증가는 단기적으로 소비를 늘리고 GDP 증가율을 끌어 올리는 효과를 내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다"며 향후 늘어난 원리금 상환액에 부담을 느낀 가계가 소비를 줄이면서 경제성장 동력이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BIS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 포인트 상승하면 경제성장률은 장기적으로 0.1%P 낮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 1990년부터 2015년까지 54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두드러진 국가로는 한국과 중국이 지목됐다. BIS는 지난해 대다수 개발도상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이 다소 축소된 가운데 한국과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가계부채가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지난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92.9%까지 치솟았다. 전년보다 4.5%포인트 오른 수치다. 가계부채는 1년 전보다 11.1% 늘어난 1천359조7천억원(1분기 말 기준)을 나타냈다.

가계부채 증가는 수요뿐만 아니라 공급 사이드를 통해서도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은행권이 주택담보대출 등을 늘림에 따라 정작 생산성이 높은 부문에 투자가 적기에 이뤄지지 못하는 구축 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BIS는 "신용 붐(Credit boom)은 건설 부문 등에 대한 비효율적 자원배분을 수반한다"며 이 영향으로 생산성 증가율이 떨어지고, 실물 경제에 오랫동안 부정적 영향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에서도 건설투자로 쏠림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올해 1분기 성장률 1.1%(계절조정 전기 대비) 가운데 건설투자가 기여한 부분은 1.1%P로 수출(0.9%p)보다 기여도가 컸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로 보면 2.9%에서 1.5%P를 건설투자가 책임졌다. 작년의 경우에는 GDP 2.8% 성장률 중에 1.6%P를 건설투자가 맡았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연구원은 "금융자원이 덜 생산적인 주택부문에 잘못 할당돼 왔다"며 "이 영향으로 향후 몇 년간 한국의 잠재 GDP 성장세가 빠른 속도로 둔화될 것이다"고 말했다.(작년 10월 19일 송고한 ''건설투자의 부메랑'…경제성장 발목잡나' 기사 참조)







<가계부채 증가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출처:BIS>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