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가계부채 누적으로 생기는 금융 불균형 위험을 지켜보기로 했다.

한은은 18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25bp 전격 인상하면서 사상 최저 수준에서 벗어났다.

국내 지표는 개선 흐름이 이어졌다. 정부와 한은은 올해도 3% 내외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3% 내외 성장 지속·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한은이 이달 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지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그 효과를 지켜보기 위해서다.

한은은 지난 11월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하겠다고 했다.

11월 이후 경제지표는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원화 강세에도 올해 수출은 5천739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도 글로벌 교역여건이 나아지면서 수출은 호조도 이어질 전망이다.

내수 회복도 완만하게 나타났다. 11월 소매판매가 전월대비 5.6%나 급증하기도 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흐름도 살펴야 한다.

미국은 지난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한국과 같은 수준이다. 미국은 점도표를 통해 올해도 세 차례가량의 금리 인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만약 미국이 예상대로 금리를 올린다면 한국과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지게 된다.

유로존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 통화정책 분위기도 살펴야 한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채권매입규모를 줄이고 있다. 일본은행 역시 연초 채권매입 규모를 줄였다가 글로벌 금융시장이 혼란을 겪기도 했다.

◇ 가계부채 누증 완화 여부·금융 불균형 위험 확인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의 증가속도를 낮추기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놓았다. 올해 1월 말에는 신(新) DTI(총부채상환비율), 오는 4분기 SDR(총체적상환능력비율) 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정부가 시행하는 가계부채 대책과 발맞추어 한은도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금융완화 정도를 줄여나가기 시작했다.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은 90조3천억 원 늘어나면서 전년 132조2천억 원 증가에서 그 규모가 줄어들었다.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줄어든다면 금융 불균형 위험도 낮아질 것이다. 지난번 금리 인상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좀 더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한은의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장금리 상승으로 취약 차주의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부담 요인이다.

◇ 원화 강세·국제유가 흐름 관건

한은이 추후 금리 인상을 위해 가장 눈여겨보는 지표는 물가다. 이주열 총재는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 주요 측면의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물가가 목표에 수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한은이 제시하는 올해 물가상승률은 1.8%다.

예상보다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 국제유가 흐름과 최저임금 인상이 서비스요금 상승 압력으로 이어지면서 물가를 높이고 있다.

반면 원화 강세는 물가상승 압력을 낮추는 요인이다. 달러-원 환율은 올해 초 1,060원이 무너지면서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원화 강세는 수출입물가 하락으로 연결된다. 11월 수출입물가는 1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작년 물가가 2%에 근접한 수준으로 올라온 데 따른 기저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물가가 한은이 당초 전망한 경로보다 빠른 속도로 올라간다면 금리 인상 시기는 빨라질 수 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