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한국은행은 21일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중국의 부채 누증이 세계 경제의 하방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은이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의 '최근 중국경제 부채 현황과 리스크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경제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부문(가계 및 기업, 정부)의 부채규모(매크로 레버리지)는 지난해 6월 말 255.9%로, 다른 신흥국 대비 크게 높은 수준을 보였고, 선진국과는 비슷한 모습을 나타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부문을 중심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 들어 상승폭이 축소됐다.

중국의 기업 레버리지는 지난해 6월 말 163.4%로 미국(73.3%)과 독일(53.8%) 등 주요국에 비해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정책으로 고정투자를 위한 차입이 확대한 가운데 과잉설비와 경기둔화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부채상환용 차입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만, 국유기업 개혁과 자본시장 활성화 추진 등으로 기업 레버리지는 2016년 하반기부터 안정세를 보이다 지난해에는 소폭 하락했다.





가계의 레버리지는 지난해 6월 말 46.8%로 선진국(75.4%)에 비해 낮았지만, 2007년 대비 2.5배 정도 상승했다.

주요 선진국이 금융위기 이후 가계 레버리지 축소를 경험한 것과 달리 중국은 소득향상과 금융 심화 등으로 가계 레버리지 증가세가 지속했기 때문이다.

한은은 "전체 차주 중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400% 이상인 고부채 가구의 비중이 2015년 기준으로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한다"며 "소득 충격 및 자산가치 하락 시 소비와 은행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 레버리지는 지난 2007년 29.3%에 비해 지난해 6월 말에는 45.7%까지 증가했지만, 선진국(99.2%) 대비 양호한 수준이다.

다만, 한은은 매크로 레버리지 증가세가 최근 둔화하고 있지만, 금융기관 간의 자금 조달 및 운용이 크게 늘면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GDP 대비 은행자산 비율은 2007년 말 200.3%에서 지난해 3분기 말에는 303.5%로 상승했다. 특히 은행의 금융부문 자산이 25.6%에서 71.0%로 증가하며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의 단기자금 조달 및 그림자 신용이 확대되면서 단기금융시장의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이 금융기관 간 자금회수 어려움과 보유자산 연쇄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은은 "중국 정부가 부채리스크 관리를 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어 단기간 내 부채문제가 시스템 위기로 갈 가능성은 제한적이다"면서도 "향후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되는 경우 중국 정부가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