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미주본부 = 2일 미 국채 10년 만기물 수익률은 새해 들어 커진 물가 상승 기대를 1월 임금 상승률이 확인해줌에 따라 4년 만에 2.80% 선을 뚫고 올랐다.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는 1월 고용 지표 호조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우려로 급락했다.

달러화는 1월 비농업부문 고용 호조에 따라 올랐다.

뉴욕유가는 미국의 원유채굴장비수가 증가한 영향 등으로 내렸다.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의 닐 카시카리 총재는 1월 고용 지표에 나타난 임금 상승세가 계속된다면 금리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카시카리 총재는 1월 고용 지표에 등장한 임금 상승률은 임금이 오른다는 '첫 신호'라며 연준을 이에 반응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1월 고용지표 개선으로 금리 인상이 빨라질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한 발언에 나섰다.

이날 연설한 윌리엄스 총재는 "연준은 경제의 긍정적 모습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며 "연준은 기존에 계획했던 점진적 금리 인상 계획을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금리를 너무 가파르게 올리면 경제 확장을 방해할 수 있고 이것은 내가 절대 보고 싶지 않은 광경"이라고 강조했다.

E*트레이드 증권의 마이크 로웬가트 투자전략 부문 부대표는 물가는 1년 전보다 오르고 있지만 우려 수준은 아니라며 여전히 연준 목표치 2%에 미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웬가트 부대표는 임금 상승 기대는 소비자들을 계속 소비하게 할 것이라며 이는 물가 수수께끼를 푸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제정책기관의 엘리스 굴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임금 상승이 증가한 것은 1월부터 최저임금이 인상된 덕분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하이프리퀀시이코노믹스의 짐 오설리번 수석 이코노미스트 역시 "실업률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고용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앞으로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시간당 임금 지표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고 앞서 발표된 고용비용지수(ECI) 지표에서 나온 신호를 확신시켜 주고 있다"면서 "이 지표는 연준이 3월에 금리를 올리기에 충분하다는 의견을 돕는다"고 평가했다.

이날 미 노동부는 1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20만 명(계절 조정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조사치 17만7천 명을 웃돈 것이다.

1월 실업률은 4.1%로 넉 달째 같았다. 이는 2000년 12월 이후 최저치다. 애널리스트들도 4.1%를 예상했다.

1월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달과 같은 62.7%를 보였다. 지난해 5월 이후 최저치다.

일할 의사는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한계근로자나 시간제 근로자 등을 반영한 광범위한 체감 실업률인 U6는 전달 8.1%에서 8.2%로 올랐다.

1월 민간부문의 시간당 임금은 전월 대비 9센트(0.34%) 상승한 26.74달러를 기록했다. 월가 전망치는 0.2% 상승이었다.

임금은 1년 전보다는 2.9% 상승했다. 이는 2009년 6월 이후 가장 높다. 고용시장 호조가 마침내 임금 인상 압력으로 나타난 셈이다.

1월 미국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전월대비 내렸지만, 월가 예상치는 웃돌았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1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확정치는 전월 95.9에서 95.7로 내렸다. 앞선 예비치는 94.4로 지난해 7월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WSJ의 전망 집계치는 95.0이었다. 지난해 10월에는 100.7로 2004년 이후 최고치였다. 지난해 지수 평균은 96.8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향후 12개월 동안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전월의 2.7%를 유지했다. 예비치는 2.8%였다.

5-10년 동안 기대 인플레율도 전월 2.4%에서 2.5%로 올랐지만, 평균 수준을 유지했다. 예비치도 2.5% 상승이었다.

미시간대 소비자서베이 부문 디렉터 리처드 커틴은 "소비자들은 미래 경제 성장과 일자리, 소득에 대해서 낙관하면서 물가 상승도 소폭 예상한다"며 "중요한 것은 구매 결정의 동기가 가격과 금리 할인에서 미래 직업 안정성과 임금 및 금융자산 상승에 대한 자신감 증가로 이동했다는 점이다"라고 설명했다.

커틴은 "이런 새로워진 자신감은 최근 저축률의 하락을 만들었다"며 "전체 지표는 올해 개인소비지출(PCE)이 2.8% 증가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 주식시장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5.75포인트(2.54%) 하락한 25,520.9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9.85포인트(2.12%) 떨어진 2,762.1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4.91포인트(1.96%) 내린 7,240.95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2016년 6월 이후 가장 크게 내렸고,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2016년 9월과 2017년 8월 이후 가장 큰 일간 낙폭을 기록했다.

주요 지수는 이날 하락 출발해 낙폭을 크게 확대했다.

미국의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며 국채 금리 상승을 이끈 것이 악재로 작용했다.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인 이후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2.852%까지 상승하며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투자자들은 금리가 지나치게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4% 넘게 급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기술이 3% 가까이 내렸고 통신과 소재가 각각 2.6%씩 하락했으며 산업과 금융도 2% 넘게 떨어지는 등 전 업종이 일제히 내림세를 보였다.

이날 발표된 지난 1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와 임금 상승률이 모두 시장 기대를 넘어섰다.

에너지회사인 엑손모빌의 주가는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밑돌며 5.1% 떨어졌다. 셰브런은 실적 호조에도 5.6% 내렸다.

엑손모빌은 4분기 특별항목을 제외한 순이익이 37억3천만 달러(주당 88센트)로 전문가 예상치인 주당순이익 1.03달러보다 낮았다.

매출은 564억 달러에서 665억 달러로 올랐지만, 이 역시 전문가 예상치였던 719억 달러에는 못 미쳤다.

셰브런은 지난 4분기 순이익이 31억1천 달러(주당 1.64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4억1천500만 달러(주당 22센트)보다 7배 가까이 높아진 것이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 1.21달러 역시 웃돈다.

시가총액 대장주인 애플의 주가도 전일 장 마감 후 발표한 실적 전망에 대한 실망으로 4.3% 내렸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주가는 스티펠의 투자의견 하향에 5.3% 하락했다.

스티펠의 애널리스트들은 아마존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했다.

존 에그버트가 이끄는 애널리스트팀은 알파벳을 둘러싼 장기적인 우려 요인들이 있다며 특히 아마존의 성장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에그버트는 알파벳의 목표가는 1,150달러로 유지했다.

알파벳의 주가는 지난 12개월 동안 44% 올랐다.

제약회사인 머크의 주가는 지난해 4분기 조정 순익 호조에도 2.2% 떨어졌다.

회사는 지난해 4분기 8억7천200만 달러(주당 32센트)의 손실을 기록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98센트로 팩트셋 전망치 94센트를 웃돌았다.

매출은 104억3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팩트셋 예상치는 104억9천만 달러였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국채 수익률 상승이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온 증시에 조정의 빌미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77.5%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30.14% 급등한 17.53을 기록했다.



◇ 채권시장

마켓워치·다우존스-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미 동부시간) 무렵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전장보다 7.9bp 오른 2.852%에서 거래됐다. 2014년 1월 이후 최고치다. 이번 주 19.1bp 올라, 2016년 11월 이후 최대 주간 오름폭을 기록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전장보다 0.8bp 낮은 2.153%에서 움직였다. 한주간 3.3bp 상승했다.

3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전장보다 9.3bp 상승한 3.099%에서 거래됐다.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큰 일중 오름폭이다. 5거래일 동안 18.7bp 올라, 2016년 11월 이후 가장 컸다.

채권 수익률은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국채가는 1월 비농업부문 고용 호조에 따라 수직으로 낙하하면서 출발했다.

이날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은 올해 네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1월 고용 발표 전의 24%에서 27%로 높여 반영했다. 올해 초에는 11%였다.

뉴욕 증시도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달러 가치는 반등했다.

10년 만기 독일 국채수익률은 전장보다 5.7bp 오른 0.709%에서 거래됐다. 2년여래 최고치다.

도이체방크 프라이빗 웰스매니지먼트의 개리 폴락 헤드는 "노동자들 임금 상승은 노동시장 밖의 물가 압력을 높일 것"이라며 "이는 국채 10년물이 3%를 향해 움직이게 할 것이 확실하다. 문제는 시기"라고 지적했다.

국채가는 오후 들어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낙폭을 500포인트로 확대하는 가운데 낙폭을 줄였다가 다시 확대했다.

전략가들은 물가 상승 신호가 확인됨에 따라 국채수익률의 추가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포트 글로벌 증권의 톰 디 갈로마 매니징 디렉터는 "임금 상승은 연준이 올해 시장 예상보다 더 공격적인 긴축을 하게 할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10년물 수익률은 단숨에 3% 선에 다가설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갈로마는 "채권과 주식 간의 주요 연결고리가 끊어졌기 때문에 증시 급락이 채권시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앤드루 헌터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임금 지표는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게 할 것"이라면서 "금융 여건이 계속해서 완화되고 핵심 물가가 오르기 시작하는 것은 올해 4차례 금리 인상을 가능하게 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1월 지표만으로 연준이 실제 움직이기 어렵다며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주목을 받았다.

소시에테 제네럴(SG)의 오마르 샤리프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지표는 하나의 지표일 뿐"이라면서 "물론 현재 연준의 분위기와 상황에 맞긴 하지만 이는 하나의 지표에 불과하다"라고 강조했다.

오펜하이머펀드의 크리쉬나 메마니 최고운용책임자는 채권 수익률은 지난해 한해 내내 좁은 폭에서 움직였는데 올해의 상승은 금융시장의 전망 변화를 대표할 수 있다며 "다만 높은 수익률이 아직 큰 파장을 줄 정도는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유니크레딧리서치의 한스 핸돌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은 1주 평균 노동 시간이 0.2% 줄어들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면서 "일한 시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시간당 평균 임금이 올라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핸돌츠 이코노미스트는 "임금이 현재 오르는 추세에 있는 것은 맞지만 갑작스러운 상승은 일한 시간 줄어든 것에 따른 것도 있다"면서 "연준은 3월과 6월에 금리를 올릴 것이고 그다음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만약 그때까지도 물가와 임금이 계속해서 오른다면 연준은 예상보다 더 빨리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 외환시장

연합인포맥스(6411)에 따르면 2일 오후 4시(현지시각) 무렵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엔화에 달러당 110.11엔을 기록해 전장 뉴욕 후장 가격인 109.28엔보다 0.83엔(0.75%) 올랐다.

유로화는 달러화에 유로당 1.2461달러에 움직여 전장 가격인 1.2513달러보다 0.0052달러(0.41%) 내렸다.

유로화는 엔화에 유로당 137.20엔을 기록해, 전장 가격인 136.76엔보다 0.44엔(0.32%) 높아졌다.

달러화는 1월 고용 호조로 엔화와 유로화에 모두 가파르게 상승 출발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가 4년 최고치인 2.80% 선 위로 올라서면서, 뉴욕증시를 끌어내렸다.

금리 자산의 매력이 위험자산인 주식보다 높아지면서 증시 투자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일 달러화는 미 국채 금리 상승 속에서도 엔화에는 올랐지만, 유로화에는 내리는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은 올해 네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1월 고용 지표 발표 전의 24%에서 27%로 높여 반영했다.

이 수치는 올해 초에는 11%에 불과했다.

달러화는 오후 들어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낙폭을 600포인트로 확대하는 가운데 엔화에 오름폭을 낮췄다가 다시 높였다.

유로화는 달러화에 낙폭을 줄였다가 다시 확대했다.

전략가들은 물가 상승 신호가 확인됨에 따라 달러의 추가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애버딘 스탠더드 인베스트먼츠의 루크 바르톨로뮤 전략가는 "이날 1월 고용은 예상보다 좋았다"며 "이는 연준이 올해 현재 계획한 3번보다 더 많이 인상해야만 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 채권시장은 이런 걸 좋아하지 않다"며 "대규모 매도로 고전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앤드루 헌터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임금 지표는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게 할 것"이라면서 "금융 여건이 계속해서 완화되고 핵심 물가가 오르기 시작하는 것은 올해 4차례 금리 인상을 가능하게 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1월 지표만으로 연준이 실제 움직이기 어렵다며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주목을 받았다.

소시에테 제네럴(SG)의 오마르 샤리프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지표는 하나의 지표일 뿐"이라면서 "물론 현재 연준의 분위기와 상황에 맞긴 하지만 이는 하나의 지표에 불과하다"라고 강조했다.

유니크레딧리서치의 한스 핸돌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은 1주 평균 노동 시간이 0.2% 줄어들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면서 "일한 시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시간당 평균 임금이 올라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핸돌츠 이코노미스트는 "임금이 현재 오르는 추세에 있는 것은 맞지만 갑작스러운 상승은 일한 시간이 줄어든 것에 따른 것도 있다"면서 "연준은 3월과 6월에 금리를 올릴 것이고 그다음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만약 그때까지도 물가와 임금이 계속해서 오른다면 연준은 예상보다 더 빨리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UBS 자산운용은 이날 유로존의 경제 성장과 사상 최고치인 경상흑자가 미국의 적자 추세와 대비된다며 유로-달러 환율의 3개월 전망치를 기존 1.18달러에서 1.25달러로 높였다.

스탠더드뱅크의 스티븐 배로우 헤드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무역을 위해 달러 약세를 원하는 데다 유로존의 통화 긴축 가능성이 있다며 유로화가 올해 말 1.3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 원유시장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35센트(0.5%) 하락한 65.4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WTI 가격은 일주일 동안 약 1% 떨어졌다.

유가는 미국의 원유 채굴활동이 활발해질 것이라는 우려로 약세를 보였다.

투자자들은 미국의 원유 채굴활동 상황을 가늠할 때 베이커휴즈의 원유채굴장비수 변화를 관찰하곤 한다.

베이커휴즈는 주간 미국의 원유채굴장비 수가 6개 증가한 765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천연가스를 포함한 총채굴장비 수는 1개 감소한 946개를 기록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 전망은 원유 시장의 가장 큰 우려 요인 중 하나였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셰일유 생산 등으로 지난해 11월 하루 1천만 배럴을 넘어섰다. 이는 약 5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다만, 시장 참가자들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등 주요 산유국의 감산 합의 이행 상황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OPEC 비회원국은 지난해부터 하루 산유량을 180만 배럴 줄이기로 하고 이를 이행 중이다.

주요 산유국의 감산 노력은 유가가 약 50%가량 상승세를 보이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주요 산유국의 감산 노력에 따른 유가 회복은 다시 미국의 생산 증가를 부추기는 요인이 돼 시장의 수급 균형이 맞춰지기가 쉽지 않았다.

최근 삭소뱅크의 오레 핸슨은 미국의 생산 증가로 브렌트유가 다시 60달러 선으로 내려앉을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원유 시장에 여러 악재가 있음에도 시장이 조만간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골드만삭스는 원유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예상보다 빨리 균형을 잡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은 브렌트유의 6개월 전망치를 82.50달러로 제시했다.

libert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