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개선, 정부 일자리정책 등 긍정적인 고용여건에도 고용회복 속도가 다소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18년 1월)에서 "경기개선에 비해 고용의 회복속도가 미흡한 것은 서비스업의 성장이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비스업은 경제성장에 따른 고용흡수 정도를 의미하는 고용탄성치가 높은 업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부터 2017년 3분기 평균 성장 대비 고용탄성치는 서비스업이 %당 12만5천 명으로 제조업 2만3천 명, 건설업 8천 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관광객이 줄고, 가계소득이 정체되면서 서비스업 성장률이 지난해 1분기에서 3분기중 전년동기대비 2.0%에 그쳤다.

가계실질소득증감률(전년동기대비)은 2014년에는 2.1%였으나 2015년 0.9%, 2016년 -0.4%, 2017년 1~3분기는 -0.8%까지 급감했다.

서비스업뿐 아니라 노동집약적인 일부 제조업 성장도 부진했다.

한은은 "내수부족 등으로 취업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인쇄나 가죽제품, 의복 등의 생산이 전년동기에 비해 줄어 고용회복세가 지연된 데 영향을 줬다"고 언급했다.

자영업 포화상태와 청년층 일자리 부족 현상도 고용회복세가 미흡한 원인으로 꼽혔다.

한은은 "자영업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추가 취업 여력이 줄어들고, 사회초년생인 20대 후반 청년층 인구가 증가한 가운데 양질의 일자리는 부족한 현상이 개선되지 않은 점도 고용회복을 느리게 했다"고 분석했다.

2016년 하반기중 구조조정으로 이직자와 은퇴연령층이 자영업으로 진출하면서 영세 자영업자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고용안정을 추구하는 구직자와 인력운용의 유연성을 선호하는 기업간 미스매치에 청년실업률도 높은 상태다.

한은은 "향후 고용여건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 정부의 가계소득 확충 정책에 따른 서비스업 업황 개선과 일자리 확대정책 등에 힘입어 개선될 것"이라며 "취업자수도 서비스업과 보건복지, 공공행정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syju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