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채권단은 성동조선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지만, 회생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채권단은 8일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기자간담회을 열고 "현시점에서 회생 가능성을 예단하기는 어려우나 법원 주도의 강력하고 근본적인 다운사이징, 재무구조 개선이 이뤄지면 사업전환, 인수ㆍ합병(M&A) 등을 포함한 다양한 회생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조선업황의 부진, 공급과잉 지속, 경쟁력 강화방안의 실행 가능성 등을 종합하면 회생 가능성이 불확실하다고 강조했다.

성동조선의 청산가치가 계속 기업가치를 크게 웃도는 데다 대규모 금융지원을 하더라도 독자 생존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인력감축 등 비용절감을 위한 자구계획을 전제하면 채권단은 5천억원의 신규자금, 1조원의 선수금환급보증(R/G)를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이행하지 못하면 성동조선은 지속적으로 자금난에 허덕인다는 것이다.

성동조선의 주력 선박의 발주량도 오는 2021년까지 최고점 대비 30~40% 회복에 불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성동조선은 지난해 5척의 선박을 수주했는데, 이는 연간 목표인 15척에 크게 못 미친다. 올해 11월까지 현재 건조 중인 선박이 모두 인도되면 일감이 완전히 소진된다.

채권단이 막대한 자금을 쏟은 대우조선과 아예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세계적 수준의 핵심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성동조선은 수주, 기술, 원가 부문에서 자력 생존을 위한 경쟁력이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대우조선의 수주잔량은 현재 114척이지만 성동조선은 5척에 불과하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성동조선의 법정관리는 불가피하다는 게 채권단의 판단이다.

다만, 채권단은 성동조선이 법정관리에 돌입한 후 회생 가능성이 있다면 법원과 소통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협조할 계획이다.

j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