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 외국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커지고, 달러-원 환율도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에도 아베노믹스로 일본 엔화가 약세를 보여, 엔-원 환율은 오히려 하락하면서 우리나라의 수출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발간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영향과 한국의 정책대응방향'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달러-원 환율 상승과 외국자본 유출 가능성이 커지며 외환위기 재발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외환위기가 재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1994년 미국 금리 인상 이후 1997년 동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했고 지난 2004년 미국 금리 인상 후에는 2008년 신흥국 유동성 위기가 일어났던 만큼, 이번에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과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문이다.

한경연은 통화정책 반응함수, 필립스곡선, IS곡선 등으로 구성된 개방경제 신케인지언 모형을 이용해 미국의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한국의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국 금리 인상시 자본유출로 달러-원 환율은 오르지만 엔화는 더 큰 폭으로 약세를 보여 엔-원 환율은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환율 흐름은 우리나라의 수출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지목됐다.

한경연은 대중 적자 해소를 위한 미국의 환율·통상 압력에 한국이 희생될 우려가 있다며, 미국의 금리 인상과 원화 약세에 따른 환차손 우려로 올해 하반기부터 자본 순유출로 반전 가능성도 있어 정부의 대비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외환위기를 막으려면 한·미 및 한·일 통화스와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 "한국은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외화 유동성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며 "투자 활성화로 원화절상의 원인 중 하나인 불황형 경상흑자를 줄이고 한미 신뢰회복을 통해 환율 및 통화정책 운신의 폭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과도한 금리 인상은 기업부실을 심화시키고 가계부채 상환부담을 가중해 경기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에서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은 자본유출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