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국내 건설업계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북한 인프라 시장 개방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과 정상회담을 가지며 대외 개방을 언급했기 때문인데 부족한 산업인프라를 채우기 위해 시장을 개방할 경우 국내 건설업계의 또 다른 탈출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28일 중국과 북한의 관영매체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지난 2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해당 매체들은 김정은 위원장이 정상회담에서 "유훈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 실현에 주력하는 것은 우리의 시종 일관된 입장이다"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오는 4월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5월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을 앞두고 자신들의 우방인 중국을 방문해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안정을 다시 한 번 언급하면서 북한의 시장 개방 여부가 건설업계의 관심사가 됐다.

지난 2014년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한반도 통일과 금융의 역할 및 정책과제'에 따르면 북한 내 산업인프라 육성에는 1천400억달러가 들 것으로 추정됐다.

철도 773억달러, 도로 374억달러, 전력 104억달러, 통신 96억달러, 공항 30억달러, 항만 15억 달러 등이다.





<출처: 건설산업연구원>

금융위는 북한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0년 뒤 1만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에는 총 5천억 달러가 들 것으로 추정하며 해외원조(ODA), 정책금융기관, 민간투자, 북한 자체창출 재원 등을 언급했다.

산업인프라 외 주택도 투자가 시급한 부문 중 하나로 언급됐다.

건설산업연구원이 2016년 펴낸 '한반도 통일이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북한 내 주택보급률은 55~83% 수준으로 추정되며 향후 10년간 100만호에 달하는 주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이 자체적으로 연간 10만호씩 100만호의 주택을 건설한다면 약 9조원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건산연은 해당 보고서에서 "북한 지역의 각 건설수요에 대한 본격적인 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 북한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며 "독일의 통일 사례에서 보듯 북한의 제조업, 서비스업 등이 일정 수준에 이르기까지 북한 경제에서 건설산업의 비중과 역할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제시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