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현 정부의 대표 정책인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정부 규제로 침체한 건설업 전망을 얼마나 개선할지 주목된다. 뉴딜 성격상 건설업체가 직접 수혜하기보다는 서울시 생활권계획과 연계할 때 시너지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연합인포맥스의 주식 업종·섹터지수 시세(화면번호 3200)를 보면 이날 오전 10시 현재 유가증권시장의 건설업 지수는 108.06을 나타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5월 128.95로 정점을 찍은 뒤 좀처럼 고개를 들지 못하고 있다. 2015년부터 분양 물량이 쌓인 데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맞물리면서 실적 호조를 기대하기 어려워져서다.

50조원 규모의 낙후지역 정비 계획인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에 건설사와 건자재업체들의 참여가 기대되지만 분양 전성기를 재현할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장문준 KB투자증권 연구원은 "도시재생 뉴딜이 전면철거 방식이 아닌 중소규모 근린재생 중심"이고 "민간 디벨로퍼가 주축이 된 일본과 달리 한국은 정부와 지자체 주도일 것으로 예상돼 직접 수혜기업을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일본은 2000년대 초 도시재생정책을 추진하면서 금융 지원, 용적률 상향 등 특례조치를 동반해 민간 자본을 적극적으로 유치함으로써 경제 기반을 강화했다.

반면 정부의 도시재생은 낙후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지난해 지정된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68곳 중 경제기반형은 경남 통영 한 군데뿐이다. 도시재생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특혜나 규제 완화가 없는 상태다.





<출처:KB투자증권>

다만 KB투자증권은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서울시의 생활권계획이 함께 추진되면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봤다.

서울시는 이달 초 발표한 '2030 서울생활권계획'에서 지역 불균형을 없애고자 비강남, 낙후지역의 상업지역을 늘리기로 했다.

장 연구원은 "두 사업은 낙후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지향하는 바가 유사하다"며 "정부가 도시재생으로 낙후 주거지를 개선하고, 서울시가 일대 상업지를 개발함으로써 시너지가 가능해진다"고 전망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