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다른 자산 대비 높은 수익 가능성 낮아

가계부채 연체율 최저, 트리거 되지 않을 것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질의·응답 내용 추가>>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국내 주택가격 안정은 공급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정부의 임대주택 공급은 지방에 몰려 있어 서울 주택가격 안정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전망됐다.

홍춘욱 이코노미스트는 5일 연합인포맥스가 개최한 '글로벌 금융시장전망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주요국의 주택가격은 1970년대부터 급등했다"며 "선진국은 주택착공 건수가 변화하면서 주택가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그는 카타리나 크놀(Katharina Knoll) 교수 등이 발표한 논문을 인용해 영국 사례를 소개했다. 영국의 과거 50년가량 주택가격 시계열을 보면 주택착공과 주택가격이 반비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글로벌 학자들이 엄격한 공급 규제정책이 없었다면 주택가격은 현재보다 30% 이상 낮을 것이라고 언급한 일화도 덧붙였다.

우리나라도 공급이 집값을 좌우할 것이라고 홍 이코노미스트는 강조했다. 정부의 예상과 달리 국내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주택 공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홍 이코노미스트는 "2005년 국내 인구 추계에서 2018년에 인구절벽이 도래한다고 예측했지만, 2015년 인구 추계에서는 인구절벽 시기가 2030년대 초반으로 늦춰졌다"며 "외국인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등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이다"고 설명했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늘어난 점도 인구 예측을 빗나가게 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국내 고령 인구가 주택을 매입하면서 임대사업자로 변신하는 현상까지 확산하면서 주택 실질수요에 대한 수급 환경도 나빠졌다고 분석했다.

서울과 지방의 주택가격 양극화는 지속할 것으로 예측했다.

과거 부동산 호황기의 착공으로 입주 폭탄이 쏟아진다고 하지만, 서울은 가구 수 대비 입주물량이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강남 ▲서초 ▲강동 ▲노원 ▲영등포 ▲관악구 등에서 주택 순공급이 마이너스(-)라고 전했다.

정부의 임대주택 공급은 집값 급등에 미봉책일 것으로 전망했다.

국토교통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공급하는 임대주택은 대부분 지방 비인기 지역에 있었기 때문이다. 지방에는 임차인이 없는 임대주택이 늘고 서울은 공급할 곳이 마땅치 않은 게 현실이다.

홍 이코노미스트는 "서울, 수도권 소재의 금융과 정보기술(IT) 반도체 등 종사자들은 임금이 많이 오를 수 있다"며 "구매력 향상도 이어지고 신축주택 선호도 더 커진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경기가 나빠지지 않는 한 한국 부동산도 나빠지지 않을 것이다"며 "공급이 바닥을 치면 가격도 오를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외 홍 이코노미스트는 철도건설이 과거 주택가격 상승을 완화한 연구결과도 부연하며 철도건설이 실질적으로 토지공급과 같다는 의견도 전했다. 이전 9호선 지하철에 대한 학습효과로 새로운 교통망 확충 지역은 선별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강세일 것으로 내다봤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른 자산시장 대비 높은 수익률을 낼지에 대해서는 과거보다 가능성이 다소 낮다고 홍 이코노미스트는 평가했다.

최근 전세가율이 떨어지고 월세도 집값 대비 상승률이 부진해 차입을 통해 수익을 올리기 상황인 점을 거론했다. 당분간 전국 부동산 시장이 월간 1% 이상으로 급등하긴 어렵겠지만, 잠복기일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가계부채가 부동산 급락의 트리거(방아쇠)가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홍 이코노미스트는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그는 "가계부채가 늘었다고 하지만, 이전 전세라는 사금융이 월세로 바뀌면서 수면위로 드러난 측면도 있다"며 "사금융이 정부의 컨트롤 안으로 들어간 셈이고 가계부채 연체율도 최저라서 특별히 트리거가 되진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