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약차주란 취약계층에 놓인 채무자를 가리키는 용어다.

3곳 이상의 금융기관 차입이 있고, 7~10등급에 속하는 저신용자이거나 소득이 하위 30%인 차주를 의미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취약차주는 1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말 대비 3만명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전체 가계대출자인 1천900만명의 8%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취약차주의 대출규모는 총 82조7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계대출 총 규모인 1천500억원의 6%에 달하는 수준으로 지난해 한 해에만 4조2천억원가량 늘어났다.

다중채무와 저소득자, 저신용 모두에 속하는 취약차주의 대출규모는 전년 대비 5천억원 늘어난 12조7천억원이었다.

최근 은행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제3금융을 찾는 취약차주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저신용자들의 연체 비율이 확대되면서 취약차주의 부채가 가계부채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미국 금리인상에 이어 국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취약차주의 이자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떠올랐다. 이들은 기존에 보유한 부채를 상환하기 어려운 만큼 금리가 인상되면 당장 생계 유지를 위협받을 수 있다.

지난해 말 취약차주의 연 소득 대비 이자상환액(이자 DSR)은 24.4%로 비취약차주의 이자 DSR 8.7%를 크게 웃돌았다. 대출금리가 100bp 상승할 때 가계대출 차주 전체의 이자 DSR은 9.5%에서 10.9%로 140b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에 고정금리 전환을 유도하는 등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 개선에 적극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취약차주 중심의 악성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 목표치를 지난해 45%에서 올해 47.5%로, 보험사는 같은 기간 30%에서 35%로 올려잡았다고 밝혔다. (산업증권부 이민재 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