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4월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하고 성장·물가 흐름과 대외 변수, 미국 금리 인상속도를 면밀하게 점검하기로 했다.

한은은 12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지난 11월 1.50%로 인상된 후 5개월째 동결 기조가 유지됐다.

◇ 올해 성장률 3.0%, 물가는 1.6%로 0.1%p 하향조정

한은은 이미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한 차례 인상하면서 금리 정상화에 시동을 걸었다.

이 총재는 지난달 성장 경로가 유지되면 방향은 금리 인상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금리 인상이 긴축이 아닌 정상화라는 데 방점을 뒀다.

통화정책방향은 국내 경제가 수출이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와 설비투자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면서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1월 전망치인 3.0%를 나타낼 것이라며,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1월 전망치였던 1.7%에서 1.6%로 하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1분기 물가상승률 실적이 낮았던 것을 반영해 물가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며 "축산물 가격 하락, 석유류 가격 상승 폭이 둔화하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 이어 "내수 회복 등의 영향을 받아 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하반기에는 1% 중반, 그 후로 가면 1%대 후반이 될 것으로 본다"며 "물론 타깃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금리 결정을 할 때는 현재보다는 장래의 물가를 더 우선한다"고 말했다.

◇ 北 리스크·美 보호무역 강화·중동지역 불안

이전보다 높아진 대외 불확실성은 한은 금리동결의 주요 고려사항이다.

북한을 둘러싼 국제 정세는 방향을 가늠하기 어렵다.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잇달아 개최된다. 북한 리스크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향후 전개 과정에 따라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도 달라질 수 있다.

이 총재는 "남북 정상회담의 경우에도 많은 리스크가 개선되는 방향으로 나간다면 지정학적 위험을 줄여서 부분적으로 원화 강세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도 주목해야 할 변수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을 가늠하기 어렵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를 낙관하고 있지만, 미·중 무역갈등이 커지면서 먹구름이 다가오고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은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비화할 조짐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미·중간 무역분쟁이 무역전쟁으로까지 비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 관측이고, 최악의 상황은 안 올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면서도 "곧바로 해소되기는 불안한 측면이 있다"고 개인적인 견해를 밝혔다.

시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동지역 정정불안도 한은이 주목할 요인 중 하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리아에 대한 공습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됐다. 게다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예멘 사이의 갈등도 불거졌다. 국제유가는 배럴당 67달러 수준까지 상승하는 등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 美 금리 인상 시기가 한은 금리 인상 시기 가늠자

대내외 불확실성이 경제 성장세를 훼손하지 않는다면 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이 총재는 "1분기 물가 상승률이 낮았지만, GDP 갭 변동을 초래할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향후 한은의 금리 인상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변수는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와 횟수다.

미국은 3월 기준금리를 1.75%로 25bp 인상했다. 한국과 기준금리가 역전됐다.

국제금융시장은 미국이 6월에도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일 기준으로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약 83.2% 반영했다.

이 총재는 미국과의 금리 차가 75~100bp까지 벌어져도 감내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역전 상태를 오래 유지하기는 부담스럽다.

미국과 금리 격차가 벌어졌지만, 금융시장이 우려했던 자본 유출은 없었다.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지난달 11억3천만 달러 유입됐다. 원화 강세로 자본이 오히려 유입됐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