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 가계부채가 9년 동안 20%포인트 넘게 오르면서 조사대상 43개국 중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상승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신흥국 발 부채 위기 오나' 보고서에서 "전 세계적으로 금융·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 및 신흥국 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완화적 통화정책이 이어졌다. 2016년 이후 유동성(M2) 증가율은 명목 GDP 증가율을 웃도는 등 과잉유동성 수준이 확대됐다.

2017년 3분기 민간신용 갭은 홍콩, 중국, 스위스, 싱가폴, 캐나다 등 다섯 개 국가가 위기 경보 국가로 분류됐다.

한국의 민간신용 갭은 마이너스(-) 1.3%포인트였지만, 조사대상국 43개국 중에서 19번째로 높았다.

신흥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08년 56.2%에서 2017년 104.3%로 48.1%포인트 늘어났다. WEF의 과다부채 임계치 기준인 80%의 1.3배였다.

한국의 기업부채는 2017년 3분기 증가 폭이 1.1%포인트로 낮은 수준이지만, 기업부채 절대 수준은 99.4%였다. 세계 평균(96.5%)과 과다부채 임계치를 상회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94.4%로 9년 동안 20.5%포인트 확대됐다. 중국, 태국, 스위스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으로는 채권 투자자금을 중심으로 유동성이 공급됐다. 신흥국 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보인 데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미국발 글로벌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됨에 따라 신흥국 중심의 신용리스크 확대와 금리 인상기 주식 및 채권투자 변동성 증가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등 민간신용 리스크는 신흥국에 집중되어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압력은 경제주체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소비와 투자심리 악화 등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전 세계적 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 및 신흥국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크다"며 "실물 및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사전적 정책 대응 노력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대외리스크에 강한 경제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