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미국과 중국이 무역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한국이 미중 무역전쟁의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아울러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자간 무역협정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진단도 제기됐다.

정인교 인하대 부총장은 16일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경제연구원 주최의 '미중 무역전쟁, 대안은 있는가'라는 제목의 세미나에 발제를 통해 "미중 무역전쟁은 중국 지도부의 공격적인 대외정책과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가 대립한 세계 패권다툼이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정 부총장은 그러면서 "장기적으로 국제통상질서 주도권 싸움이기 때문에 갈등이 지속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며 "이번 무역전쟁의 최대 피해국은 한국과 대만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 교역의 1, 2위를 차지하는 중국과 미국의 무역분쟁이 현실화된 만큼 그 불똥이 한국에 고스란히 튈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 의존도 완화와 다자간 무역협정 추진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정 부총장은 "대안으로는 대중 의존도 완화와 통상갈등 유발형 산업에 대한 산업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경수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현재 한·중·일 삼국이 각자 ASEAN과 FTA를 맺고 있는 상황에서, 다자간 무역협정으로 옮겨갈 경우 한국의 국내총생산은 약 2.3%포인트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지난 2011년 GDP 기준으로 약 275억4천만달러의 증가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형주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가 간 경제력 격차가 곧바로 협상력 우위를 결정하는 상황이 빈발하면서, 한국 등 무역의존도가 높은 소규모 개방경제국가에 양자 간 무역협정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며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대안을 고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태신 한경연 원장도 개회사를 통해 "중국에 대한 중간재 수출 비중이 79%에 달하는 상황에서 대중 수출의 감소가 우려된다"며 "미국 통상압박이 한국의 철강, 태양광 패널 등으로도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무역갈등이 완화되는 것처럼 보여도 양국 통상 기조상 언제든 관계가 냉각될 수 있기 때문에 다자간 무역협정 등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