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은행들도 북한 관련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른 감은 있지만, 남북 화해 무드가 짙어지며 남북 간 교류가 재개되면 경제 협력이나 사회적 금융을 앞세워 은행의 역할이 커질 수 있어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 중 북한 연구에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곳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 기관이다.

산업은행은 현재 KDB미래전략연구소 통일사업부 중심으로 남북정상회담 등 북한 관련 동향을 연구하고 있다.

앞서 산은은 지난 2014년 정책금융공사와 통일금융협의체를 가동하기도 했다. 북한경제파트와 조사분석부를 중심으로 북한의 경제·금융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미래의 통일에 대비하는 게 목적이었다.

남북 간 화해 무드가 본격적으로 조성된다면 정책금융 중심의 인프라 지원이 불가피한 만큼 금융권은 산은 중심의 정책금융 협의체가 꾸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북한개발연구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번을 계기로 향후 북한 관련 논의가 활발해질 것을 대비해 현재는 인력 등 조직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특히 오는 27일 열릴 남북정상회담은 사내 남북협력본부를 통해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수은은 통일부로부터 남북협력기금을 수탁받아 운영하고 있어 다른 기관보다 북한 관련 동향에 더욱 세심하게 대응해야 한다. 자금 집행 과정의 의사결정은 통일부가 주도하지만, 대출 심사 등 자금 운용의 실무는 상황에 따라 수은이 전담하기 때문이다.

한 정책금융기관 관계자는 "아직 정상회담 전이라 정부로부터 이렇다 할 방침을 들은 것이 없어 과거 2000년과 2007년, 2014년 사례 등을 바탕으로 연구만 하고 있다"며 "회담 말미에 경제 협력 등의 부문이 부각된다면 은행권과 함께 준비할 일이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은행권이 남북 화해 무드에 대응한 사례는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000년과 2007년, 그리고 정부가 통일금융을 내세웠던 2014년 정도다.

시중은행 역시 과거 사례를 돌이켜보며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주목하고 있다.

정책금융기관같이 별도의 북한 경제 연구부서가 없는 은행들은 전략기획부를 중심으로 관련 정보를 살피고 있다.

과거 북한 개성공단에 지점을 운영했던 우리은행도 향후 진행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2005년 이후 2015년까지 이산가족 만남이 추진될 때마다 임시환전소를 설치해 운영했다. 개성공업지구에 진출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대출상품 '개성공단 V론'을 출시하는 등 북한 지원에 적극적으로 임해왔기 때문이다.

농협은행은 농협중앙회 차원에서 관련 사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금강산 지점은 은행 중심으로 운영했지만, 식량 등 각종 경제지원에 참여하는 것은 범 농협 차원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커서다.

그밖에 기업은행과 신한은행, KB국민은행 등도 이번 북한 관련 이슈가 경제 안팎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많다.

한 시중은행 고위 임원은 "정상회담의 성격이 비핵화 등의 이슈에 집중돼 있지만 경제 협력 방안까지 논의가 확장된다면 은행권도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관련 동향에 따라 특판 상품 출시나 향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 전략의 변화 등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