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남북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국내 기업들의 '기대감'도 부쩍 커지고 있다. 아직 상황을 두고 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지배적인 가운데서도 추가 사업기회 모색을 고민하는 기업도 늘어나는 추세다.

당분간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남북 경제협력이 본격화할 경우 인프라·건설을 시작으로 유통·소비재, 정보통신기술(ICT), 에너지·자원, 자동차, 관광 등 다방면에 걸친 수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25일 "그간 남북경협에 주도적 역할을 해왔던 현대아산 등을 중심으로 수혜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대북사업을 위한 전략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간 개성공단 개발 등 다양한 대북 사업을 진행했던 현대아산은 2008년 '금강산 관광 중단'이라는 초유의 위기를 겪었다. 이후 사태 해결에 '난항'이 이어지면서 현대아산의 대북사업은 지난 10년간 표류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대아산 관계자는 "현재 그간 준비했던 대북사업을 다시 검토하고, 필요한 부분을 보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며 "최근의 분위기는 나쁘지 않게 흘러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향후 경제협력과 관련된 논의도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국내 기업의 상당수는 사업기회 모색 차원에서 대북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2015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500개 기업 중 87.2%는 통일 이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산업 및 경제활동에 필수적인 인프라·건설 부문이 향후 진행될 남북 경제협력의 직접적인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광석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전무는 "인프라·건설에 대한 투자가 선행되지 않으면 다른 산업으로의 확대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도로나 철도 등의 교통시설과 정보통신시설, 상하수도 시설, 전력 및 가스 등의 공급시설 등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북한이 양적·질적 측면에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관련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 부문 또한 향후 다른 산업의 확장성을 담보하기 위해 반드시 투자가 필요한 분야로 거론됐다.

다만, 김 전무는 "대북 비즈니스는 기회 요인만큼이나 많은 위험 요인도 존재한다"며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북한의 정치·제도·산업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남북경협의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리스크를 사전에 점검하고 투자비 회수방안을 단계적으로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jw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