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가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에 비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은 25일 '불확실성 충격의 경기 국면별 파급효과(BOK 경제연구)'에서 "불확실성 확대는 경기 하강 국면에서 실업률 상승 등 실물경제에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불확실성 확대가 경기 상승 및 하강 국면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불확실성 충격의 파급효과를 경기 국면별로 분석했다.

주요 분석대상 변수로는 기준금리, 물가상승률, 실업률, 산업생산, 주가, 실질실효환율 등을 포함했다. 분석대상 기간은 1991년 1월부터 2016년 12월 중이며, 월별 자료를 이용했다.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표로는 한국의 EPU(Economic Policy Uncertainty)지수를 사용했다. 금융시장 불확실성 지표로는 KOSPI 200의 1개월 만기 옵션 내재변동성지수(VKOSPIX)를 활용했다.

분석결과 불확실성 확대가 실업률 상승 등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국면별로는 경기 상승 국면보다 경기 하강 국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가 경제정책 불확실성보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실업률 상승 및 소비자물가 하락 폭은 경제정책 관련 불확실성 경우보다 경기 국면에 따라 5~10배 정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1 표준편차 증가할 경우, 경기 하강 국면에서는 실업률이 0.02% 상승하지만, 경제정책 불확실성 확대 영향은 0.002%포인트에 그쳤다.

한은은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이 경기 하강 국면에서 비대칭적으로 크기 때문에, 경기가 부진할수록 경제정책 및 금융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은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국제금융시장의 여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모니터링과 변동성 완화를 위한 정책적 대응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