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이재헌 기자 = 건설업계는 남북정상회담 뒤 나올 경제협력 사업을 고대하고 있다. 북한이 핵무력 포기 이후 인프라 재건 등 경제개발에 나설 경우 미화 1천400억달러(약 151조4천100억원)에 달하는 신규 시장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와 주택시장안정정책으로 위기에 몰린 만큼 남북정상회담이 북한의 시장 개방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북한의 도로, 교통 등 제반 인프라를 육성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총 1천400억달러 수준으로 추정됐다.

지난 2014년 금융위원회는 '한반도 통일과 금융의 역할 및 정책과제'에서 철도 773억달러, 도로 374억달러, 전력 104억달러, 통신 96억달러, 공항 30억달러, 항만 15억 달러 등이 들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이를 포함해 북한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0년 뒤 1만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에는 총 5천억 달러가 들 것으로 추정하며 해외원조(ODA), 정책금융기관, 민간투자, 북한 자체창출 재원 등이 자금원으로 거론됐다.

 









주택 부분도 건설업계가 주시하는 분야다.

건설산업연구원이 2016년 펴낸 '한반도 통일이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내 주택보급률은 55~83% 수준으로 추정되며 향후 10년간 100만호에 달하는 주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이 자체적으로 연간 10만호씩 100만호의 주택을 건설한다면 약 9조원의 사업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건산연은 해당 보고서에서 "북한 지역의 각 건설수요에 대한 본격적인 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 북한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며 "독일의 통일 사례에서 보듯 북한의 제조업, 서비스업 등이 일정 수준에 이르기까지 북한 경제에서 건설산업의 비중과 역할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제시했다.

도시개발 가능성도 거론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미 보유한 19개 경제개발특구 계획의 속도를 높여 중국과 유사한 길을 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국내 건설사는 이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움직일 필요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광수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현재 북한 도시는 평양을 제외하고 지역별로 소도시가 고르게 분포됐다"며 "도시개발과 경제개발특구를 통한 경제성장은 중국 사회주의 경제모델에서 검증됐기 때문에 북한도 주요 경제정책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사와 투자자는 건설업에 대해 과감하면서도 합리적인 상상이 필요하다"며 "북한 경제개발을 위한 한국 건설사들의 투자, 기술이전, 시공 등 다양한 역할이 요구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다만, 남북 경제협력으로 건설사들이 환골탈태하긴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상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남북 경협에서 건설과 관련해서는 일반건축보다 토목과 관련된 영역이 잠재적 수혜대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토목은 진입장벽이 낮고 저부가가치이기 때문에 막상 활성화가 된다고 해도 수익성이나 현금흐름 측면에서 크게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고 전했다.

spnam@yna.co.kr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