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남승표 기자 = 긴장이 이어지던 한반도 정세가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급격히 누그러지며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건설업계의 기대감도 키우고 있다.

북한의 핵무력 포기 절차,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 등 주요 외교·안보 현안이 남아 있어 경협 사안이 거론되기에는 이르지만 과거 사례를 살펴볼 때 철도, 도로, 공항 등 교통망 복원부터 차근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됐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의 남북경협 참여는 주로 교통망 복원, 공단건설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지난 2000년 1차 정상회담에서는 경의선, 동해선 철도 연결 사업, 금강산 육로관광, 개성공단 조성이 합의됐고 2003년에 금강산 육로관광이 시작되는 한편 개성공단이 착공됐다.

건설사 중에서는 현대건설이 1997년 경수로 사업과 평양 류경 정주영 체육관 건립 등 대북사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진행한 개성공단 사업은 2007년 1단계까지 준공됐는데 남광토건이 시공사로 참여했다.

7년 뒤 2차 정상회담에서는 서해평화협력지대를 설치하는 안이 합의됐고 개성~신의주 철도, 개성~평양 고속도로를 개보수하는 사업 등 새로운 경협 아이템이 제시됐다.

 





<출처:한국투자증권>

남북 경협 중 개성공단, 경의선~동해선 도로공사 등은 우리 정부가 단독으로 진행했고 경수로 사업, 나진-하산 물류협력사업은 한-미-일, 한-러 합작사업이었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북한 나진과 러시아 국경도시 하산을 잇는 54㎞ 구간 철도와 나진항을 러시아산 수출품의 해외 운송 또는 유럽행 외국 수출품의 시베리아횡단철도(TSR) 경유 운송에 이용하려는 복합물류사업이다.

포스코, 현대상선, 코레일 등 국내 기업 컨소시엄이 지난 2008년 러시아와 북한 합작기업인 '라손콘트란스'의 러시아 측 지분 49%를 사들이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참여 여부를 타진하기도 했다.

과거 사례에서 보듯 오는 27일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 철도, 도로 연결 등 교통망 중심의 경제협력 의제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경제협력 과정에서 물자 수송이 우선 진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철로, 육로는 끊긴 곳이 많은 반면 항로는 바로 이용할 수 있어서 해양수산부가 중심이 돼 연안 운송, 항만 개발이 이뤄질 수 있다.

북한 내 산업단지개발, 주택건설 등 공간개발사업은 민간 자본의 참여가 필요한데 외부 투자자에 대한 북한 정부의 보증문제 등이 단시간에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민간을 이어주며 대북 경제협력을 컨트롤할 기구로서는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위원장 송영길)가 주목됐다. 조선, 항만 등 9개 분야의 한·러 협력사업인 9-브릿지(bridge) 전략을 추진 중이어서 남북경협에 중국과 러시아까지 포함하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외교·안보 이슈가 엄중하기 때문에 경제협력과 관련한 사안이 논의될 단계가 아니라고 본다"며 사견임을 전제로 "정부가 직접 진행하는 철도 등 교통망 복원과 관련된 논의 정도는 향후에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과거 개성공단도 공기업인 LH가 진행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며 "남북 철도의 미싱링크(Missing Link) 연결 정도는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hjlee2@yna.co.kr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