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업 중심의 동북아 금융 허브 구축해야"



(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국내 증시의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자본시장이 성숙되면서 지난 10년간 답보 상태에 있던 동북아 금융허브 정책을 구체화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황영기 금투협회장은 10일 여의도에서 열린 하계 기자간담회에서 "기업 실적이 호조를 나타내고 있고 새 정부 출범으로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기대가 높다는 이유로 주가는 최고치를 경신하고 펀드 시장은 활력을 회복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시장이 좋기 때문에 이다음에 어떻게 할까를 준비할 때가 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높은 기대를 드러냈다.

황 회장은 "재벌의 편법승계나 내부자 거래, 사익 추구에 대해서는 철퇴를 내리면서 시장이 굉장히 깨끗해질 것"이라며 "총수를 위한 지배구조보다는 주주 전체를 위한 지배구조로 바뀔 것이라는 전망에 일부 증권사에서는 문재인 정부 임기 말에 코스피 지수가 4,000까지 오를 것이란 얘기도 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또 "과거 김대중 대통령이나 노무현 대통령 등 진보정권이 집권했을 때 벤처 기업 활성화, 펀드 붐 등으로 주가가 좋았었다"며 "대통령도 후보 시절부터 자본 시장 육성과 중산층 재산 늘리기 등을 얘기해 자본 시장에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최근의 대세 상승장으로 국내 증시의 시가총액이 국내총생산(GDP)에 맞먹는 규모에 이르러 자본 시장도 어느 정도 성숙하게 됐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이에 황 회장은 참여정부에서 추진된 '동북아 금융 허브'를 다시 추진할 만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판단했다.

그는 미국 뉴욕이나 영국 런던 등의 종합적인 금융 특구보다는 자산운용업을 중심으로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즉, 국민연금(NPS)이나 한국투자공사(KIC) 등 대규모 출자가 가능한 기관은 물론, 퇴직연금 시장도 팽창하고 있어 자산운용업 수요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이를 활용해 외국계 자산운용사를 유치하면 고용과 소비가 늘어나고, 외국계 증권사 등 다른 금융 기관도 부수적으로 따라 들어와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란 얘기다.

황 회장은 "싱가포르의 경우 외국계 운용사가 들어오면 국부펀드(GIC)에서 종잣돈(seed money)을 주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외국인들이 한국에서의 실생활에서 필요한 부분을 아주 세세하게 채워주면서 국내 자본 시장이 국제 시장의 금융 허브로 크는 데에 작업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선결 과제로는 글로벌 금융투자회사와의 경쟁성 문제를 꼽았다. 국내 제도와 규제 수준으로 다른 선진 시장과 유사하게 개선해야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되고 외국계 기관의 한국 진출도 가능해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를 위해 금투협은 지난해부터 선진국 자본시장과 한국의 차이 및 실무적인 문제 등을 짚어내는 연구를 하고 이달 말 책자로 발간할 계획을 하고 있다.

예컨대 증권사의 예탁금 운용이나 제삼자 보증 대출 등은 외국 금융사에서는 가능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완전히 막힌 업무다.

황 회장은 "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불가능 한 일들, 이해할 수 있는 이유 또는 없는 이유 등을 밝혀 증권사가 다음 단계로 도약하는 데에 필요한 것을 업계와 당국에 전달할 것"이라며 "우리 증권사에서 바라는 사항이 뭔지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토론을 하고 해답을 찾아보겠다"고 마무리했다.

kl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