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최근 국내경기의 하강 평가에 힘이 실린 가운데서도 일부에서는 단기 내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하강 국면엔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해 경기 회복의 불씨를 되살리는 게 일반적이지만, 커지는 금융 불균형 위험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경기가 꺾인다고 볼 때, 오는 7·8월이 아니면 당분간 금리 인상 기회를 잡기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도 자리하고 있다.

18일 서울 채권시장에 따르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전일 대내외 여건이 만만치 않아 향후 경제 상황을 낙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대외여건 중에선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미·중간 무역갈등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일부 취약 신흥국의 금융불안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에 이어 경기 상황에 대한 우려를 이어간 셈이다.

김 부의장은 지난 14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여러 지표로 봐 경기는 오히려 침체국면의 초입 단계에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보다 먼저 경기 우려에 불을 지핀 것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기선행지수다.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는 올해 2월 99.8을 기록해 2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 이 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100 이하면 경기 하락세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경기 우려가 커졌지만, 7월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여전히 많은 분위기다.

A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작년 11월 한국은행이 금융 불균형 위험을 근거로 금리를 올렸다"며 "이번엔 가계부채가 다시 치솟는 흐름을 보인 데다 미국 금리 인상 영향으로 신흥국에서도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5조1천억 원 늘어, 지난달(4조3천억 원)보다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 폭은 작아졌지만, 기타대출에 아파트 분양자금 등 주택 관련 수요가 몰려 크게 늘었다.

B 자산운용사의 채권 운용역은 "신흥국 위기는 정책 여력 확보 차원에서 선제 금리 인상 필요성을 시사한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하강 우려가 부각돼 한은의 고민이 깊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C 증권사의 채권 운용역은 "한은이 금리를 올리고자 한다면 단기 내 인상 말고는 답이 없다"며 "최근 경기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한은보다 낮은 점 등을 볼 때, 갈수록 경기 하방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