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금리 3.5bp·단기금리 6.2bp 하락



(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유가 상승으로 인한 미국 채권금리 급등과 그로 인한 신흥국 위기 조짐 등으로 글로벌 금리가 급등세를 보인 지난주, 한국의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이번 주 5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불붙은 경기침체 논쟁으로 국내 채권시장은 그동안 미국을 따라 상승했던 금리를 되돌렸다.

21일 연합인포맥스 국가별 정부채 금리비교(화면번호 6543)에 따르면 지난주 한국의 장기금리는 3.5bp 하락했고, 단기금리는 6.2bp 하락했다.

조사 대상인 35개 국가 중 중국(-0.5bp)과 스웨덴(-0.43bp) 등 3개국 장기금리만 하락했는데 한국이 그중 가장 많이 내렸다.

6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장기금리가 8.92bp, 단기금리가 0.56bp 상승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35개국 장기금리 평균 상승폭이 약 14.9bp, 단기금리 평균이 약 7.3bp인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금리는 글로벌 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 셈이다.

서울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국내 시장이 물가·고용 등 지표 부진과 정부 주요인사의 경기침체론, 금리 상단에 대한 부담 등이 매수세 유입을 부추긴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이주열 한은 총재가 5월 금통위를 일주일 정도 남기고 앞으로 경제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발언한 점은 시장참가자들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혼란을 가져왔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가 3%를 웃돌고 있지만, 연초와 다르게 국가별로 차별화된 동향이 이어지고 있다"며 "미국발 금리 상승세가 국가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가장 큰 원인은 펀더멘털 격차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만큼 경기 여건이 긍정적이지 않고, 인플레이션 압력 역시 높지 않은 국가들은 새로운 고점을 형성할 정도로 금리 상승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또한 이런 펀더멘털의 차이는 통화정책에 대한 시각이나 전망에도 반영되고 있다"고 전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경기침체론에 대한 정부 인사 발언과 이 총재의 경기 진단 등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은 반영할 수 있는 강세 재료를 일단 가격에 반영하는 모습이다"며 "그러나 여전히 5월 금리 인상 소수의견 여부를 확신할 수 없어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출 순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전보다 5월 소수의견, 7월 인상 컨센서스는 약화된 상황"이라며 "이번 주는 금통위가 며칠 남지 않았고 공휴일도 있어 큰 폭의 강세가 쉽지 않겠지만, 금통위 이후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