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3년 만에 소폭 상승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우리나라 종합순위는 평가대상 63개국 중 27위에 자리했다. 전년보다 2단계 올랐다.

우리나라는 2년 연속 29위 제자리 걸음을 걷다가 3년 만에 순위 상승에 성공했다.

세계경제포럼(WEF) 국가경쟁력 순위에서는 4년 연속 26위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이 IMD 평가에서 3단계 상승한 1위를 차지했다. 홍콩은 1단계 내린 2위였고, 싱가포르는 3위를 유지했다.

올해 우리나라는 인구 2천만 명 이상 29개 국가 중에서는 10위에 해당했다.

우리나라는 4대 분야별로 인프라가 24위에서 18위로, 경제성과가 22에서 20위로, 기업 효율성이 44위에서 43위로 올랐다.

반면 정부 효율성은 28위에서 29위로 내렸다.

인프라는 기술(17→14위)과 과학(8→7위), 교육(37→25위) 등 전 부문에서 상승했다.

교육 부문은 학생당 공교육비 지출, 중·고등학교 취학률 개선에 올랐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기술 및 과학부문 순위 상승은 정부의 혁신성장 인프라 지원 등에 힘입어 질적ㆍ제도적요소 개선에 기인했다.

경제성과는 국내총생산(14→12위)과 국내총투자(4→2위), 외국인직접투자 유입(28→22위) 등이 올랐다. 물가는 47위에서 54위로 떨어졌다. 생활물가가 오른 탓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기업 효율성(43위)은 여전히 4대 분야 중 가장 취약하지만, 금융시장과 경영 관행 등이 올랐다.

정부 효율성(29위)은 정부 비효율ㆍ불신 요인(국정 공백 등)이 수습됐지만 순위가 내렸다. 공공재정과 재정정책 등에서 순위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성장과 기술ㆍ과학ㆍ교육 등 핵심부문 인프라 확충으로 국가경쟁력이 제고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노동시장 및 경영 관행상 구조적 문제, 각종 규제 등은 국가경쟁력 순위 상승을 제약했다고 설명했다.

IMD는 우리나라에 대해 대내외 리스크 관리, 청년일자리 창출, 기업 구조개혁 가속화, 경제 주체 간 분배 개선, 경제복원력 제고 등 권고했다.

정부는 향후 국민 삶의 가시적 변화와 함께 국가경쟁력 제고 노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하면서 혁신형 고용안정 모델을 구축하고, 규제 샌드박스 도입 등 규제혁신 노력도 지속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수년째 20위권 후반에 머무는 국가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지난해 10월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를 가동한 바 있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