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정부는 올해 1분기에 역대 최악의 소득분배지표를 받아들고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판단하기에는 통계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도규상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여러 연구기관, 전문가들과 상의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최저임금 영향이 유의미하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최저임금을 급하게 올린 영향에 저소득층이 해고를 당하고, 이 때문에 소득분배지표가 악화했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날 통계청은 상위 20% 처분가능소득(5분위)을 하위 20%(1분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5분위 배율이 5.95배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 5.35배에서는 0.6 나빠진 데다 2003년 이래 가장 분배지표가 좋지 않은 수준이다.

1분위 가계소득은 128만7천 원으로 8.0% 감소했는데, 근로소득은 47만3천 원으로 13.3% 줄었다.

반면 5분위 가계소득은 1천15만2천 원으로 9.3% 늘었다. 근로소득이 12.0%, 사업소득은 17.3% 증가했다.

도 국장은 "1분위에서 70세 이상 가구주 비중이 1년 전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으로 이례적으로 증가했다"며 인구구조 변화를 소득 분배 지표 악화의 원인으로 판단했다.

1분위에서 70세 이상의 비중이 급증한 것에 대해서는 분석이 필요하다고 도 국장은 언급했다.

그는 "2분위에서 소득이 떨어져 1분위에 속했을 수도 있고, 고용도 낮은 편"이라며 "여러 통계적 측면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 국장은 또 1분위에서 무직과 일용직 비중도 늘어난 점도 분배지표 악화의 배경으로 꼽았다.

그는 "무직은 고령화에 따라 은퇴를 한 경우가 있고, 근로소득이 없다"며 "절대 소득이 낮은 일용직은 작년 하반기부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영향에 도소매·숙박 등이 부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1분위에서 사업소득이 감소한 것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1인 자영업자)가 계속 감소하면서 총액이 줄어든 영향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도 국장은 5분위 소득이 늘어난 것은 작년 기업 실적이 좋아 상여금을 많이 받은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5분위 근로소득은 작년에 기업체의 당기 순익이 증가했다. 상장기업은 40% 늘었다"며 "대기업 임원 등은 올해 1분기에 보너스 급여 형태로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활, 근로장려세제(EITC) 확대, 기초연금 강화 등의 노력을 더 할 필요가 있다"며 "결국 일자리다. 혁신성장을 좀 더 가속하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