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파급 효과 큰 제조업 경쟁력 활성화 절실



(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국내 조선산업과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에 제조업의 경기둔화가 맞물려 당분간 고용사정이 악화될 것을 전망됐다.

이시균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주력산업의 위기와 일자리 재시동'이라는 제목의 세미나에 토론자로 나서 "금융위기 이후 고용증가와 생산성 저하 현상이 지속되면서 구조조정이 추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용사정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성장 잠재력 약화로 인해 수요부족으로 인한 요인이 크게 작용하면서 제조업 성장세와 고용성장도 둔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 연구위원은 "2020년 후반 이후 노동력 부족에 따른 공급제약현상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동력 부족 환경에 대비한 질적 투입을 중심으로 한 성장구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출산에 따른 주 노동인구 감소 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전문가 비중이 OECD 최하위 수준이므로 전문인력 중심으로 적극적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권오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팀장은 "조선산업의 경우 최근 수년간 수주부진에 따른 구조조정의 여파로 인력이 10만명 이상 감소했고, 현재도 감축이 진행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권 팀장은 "퇴직인력 재배치 등을 통해 인력감축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근본적으로 수주물량 확대를 위해 스마트선박, LNG 연료추진선박 등 신규 사업이 확대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주력 제조업은 서비스산업 대비 절반 정도의 고용창출을 하고 있으나 타 산업으로 파급효과는 훨씬 크다"며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1만명 감소할 때 타 산업에서는 1만3천700명이 감소하지만, 서비스업의 경우 1만명이 감소해도 다른 산업에서는 700명 감소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일자리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주력산업인 제조업 경쟁력을 활성화할 방안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주원 실장은 "주력산업의 생존·성장이 없이는 신산업 등장도 불가능한 만큼 실종된 기업 활력을 부활할 수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와 소재·부품 국산화를 통한 경제산업구조 개선, 저부가 중간재 수출에서 고부가 최종재 수출로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