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북미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은행권에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분야로 인프라 금융이 꼽히고 있다.

남북 화해 무드 속에 북한의 사회간접자본(SOC) 개발이 본격화할 경우 국내 금융기관들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방식으로 자금 조달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향후 20년간 북한 내 주요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비용은 총 1천392억 달러(약 150조원)로 추산된다.

이는 금융위원회가 지난 2014년 보고서 '한반도 통일과 금융의 역할 및 정책과제'를 통해 추정한 것으로 철도(773억 달러), 도로(374억 달러), 전력(104억 달러), 통신(96억 달러) 순으로 예상 지출 규모가 컸다.

전문가들은 아직 북한에 자금 조달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만큼 국내 금융기관이 PF 방식을 통해 대규모 개발 사업의 재원 마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승창 KB증권 연구원은 "북한 기업의 자금 조달 시스템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금융 인프라와 관련해 남한의 시중은행들에게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은행권에서도 북미 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협 사업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에 대비해 북한 인프라 금융 지원 전략을 다듬고 있는 상황이다.

인프라 금융 사업 경험이 풍부한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이 주요 개발 프로젝트 금융 지원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업계에서는 마이크로 파이낸스 분야 역시 은행들에게 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마이크로 파이낸스는 취약 계층을 위한 소액 금융을 총칭하는 용어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발달된 제도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정규 인가를 받은 마이크로 파이낸스 취급 기관은 1천500∼2천개, 시장 규모는 600억~1천억 달러로 예상된다.

다만, 북한 관련 경제·금융 통계가 아직 제한적인 수준인 탓에 북한의 마이크로 파이낸스 관련 시장 규모를 추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남북 경협 확대 시 인프라 금융과 마이크로 파이낸스가 유망 분야가 될 수 있다는 얘기는 있지만 아직 전략을 구체화하기에는 이른 단계"라며 "대북 사업 전략과 관련해선 별도의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