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한은이 누적해서 언급했던 '지정학적 리스크'가 통화정책방향에서 삭제될 가능성이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문구에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새롭게 추가된 후 14개월째 유지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주요 변수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했다.

금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하방 위험 중 하나는 해소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이 현재 주목하고 있는 리스크 요인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다.

북한 리스크가 완화되더라도 살펴봐야 할 요인이 적지 않다.

금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시작으로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통화정책회의가 줄줄이 예정돼 있다. 다음 주에는 영란은행(BOE)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미국은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 점도표가 상향 조정될지에 시장참가자들의 관심이 쏠려 있다. 오버나이트 인덱스 스와프(OIS) 시장에서는 올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네 번 올릴 확률을 29.1%로 보고 있다.

ECB는 통화정책회의에서 매월 300억 유로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축소할 가능성이 거론됐다. 오는 9월 자산매입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연장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21일 열리는 BOE 회의에서는 일부 위원들이 금리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영국도 금리 인상 신호탄을 쏘아 올린 후 꾸준히 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에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일부 신흥국이 외화 유동성 부족에 시달렸다. 아르헨티나는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기도 했다.

한국은 재정 건전성이 양호한 나라로 꼽히지만, 대외 변수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주요국 통화정책 움직임을 무시할 수 없다.

지난 주말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보호주의와 관세장벽을 배격한다는 내용의 성명문에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한국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내 수출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자동차와 철강이 대표적인 업종이다.

한은은 국내 수출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한다. 다만 수출이 반도체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이다. 자동차 수출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경제지표가 양호하다고 해도 리스크가 해소되기는 쉽지 않다.

가계부채 증가세도 한은이 주목하는 재료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가계부채가 누적될 경우 금융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1분기 가계부채는 1천468조 원으로, 주택담보 대출 규제로 기타대출이 많이 증가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총량 수준이 높고 증가세가 둔화한다고 해도 여전히 소득증가율을 웃돌고 있다"며 "중기적으로 봤을 때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는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