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한국은행은 향후 차입 여력이 부족한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디폴트 발생이 증가할 것이라면서도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17일 해외경제포커스의 '최근 중국 회사채 디폴트 현황 및 평가' 자료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올해 들어 중국 역내시장(중국 본토)에서 20여 건, 167억 위안 규모의 회사채 디폴트가 발생하면서 채권시장에서 신용위험 증가 우려가 커졌다.

지난 5월 11일 중국 국유에너지기업인 CERCG의 자회사가 역외(홍콩)시장에서 3억5천만 달러의 회사채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했다.

이후 28일에는 자회사가 약정이자를 상환했지만, 원금과 지연이자 상환에 실패하면서 모회사가 신용 보증한 다른 자회사 발행 회사채에도 크로스 디폴트(cross-default)가 발생했다.





한은은 이런 중국 회사채 디폴트는 중국 정부의 금융리스크 억제를 위한 금융규제 강화와 디레버리징 정책 지속 등이 주된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2017년 이후 사회융자총액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자산관리상품 규제 최종안이 발표되는 등 금융규제 강화로 기업 유동성이 축소됐다.

또한, 국내 디레버리징 정책 지속의 영향으로 중국 기업들이 역외 고금리 달러화 차입을 확대했으며 이는 원리금 상환 부담을 가중했다.

이에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4월 25일 상업은행의 유동성 확보와 기업 자금난 해소를 목적으로 지급준비율을 1%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6월 1일에는 중기유동성 지원대출(MLF)의 담보자산 범위를 확대해 채권시장을 통한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한편, 은행보험감독위원회는 중·대기업의 신용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신용공여 금융기관이 한도를 설정, 관리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한은은 "과잉부채 기업과 그림자금융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신규 자금조달이 제약되면서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증대했다"면서도 "다만, 제조업 수익성 개선 및 금융당국의 유동성 추가공급 여력 등을 감안하면 금융부문 전체의 위험요인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전망이다"고 내다봤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