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갈등으로 대외경제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재정당국은 대외경제 불안 요인이 직접 국내 경제에 충격을 주기보다는 신흥국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에 대해 경계에 나섰다.

1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근 급변하는 대외경제환경에 대응해 재정당국이 주로 점검하는 경제지표는 신흥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와 주식시장 동향, 국내 외국인자금 유출입 동향 등이다.

지난 14일 미 FOMC가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하며 우리나라와 금리가 역전됐지만 74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 4천억 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고 등이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어 펀더멘털에는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재정당국의 관심은 단기 유동성 변동에 맞춰졌다.

미 금리 인상 전후로 신흥국 금융불안이 확산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4월 아르헨티나를 시작으로 신흥국의 통화가치 불안은 브라질, 멕시코, 터키에 이어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번졌다.

연합인포맥스의 국가별 CDS 프리미엄(화면번호 2485)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의 5년물 CDS 프리미엄은 413.17로 이라크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이 외에도 터키 316.33, 브라질 296.60, 멕시코 144.60, 남아프리카공화국 207.76 등 위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아직 국내 자본시장에서 외국인 이탈 조짐은 보이지 않지만, 주식 매도규모가 큰 점은 주시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은 FOMC가 기준금리를 올린 지난 14일 이후 18일까지 거래소에서 3거래일 동안 1조3천800억 원어치의 주식을 매도했다. FOMC 이전 3거래일 동안 매도규모는 1천300억 원이었다.

다만, 같은 기간 채권시장에서 8천900억 원어치의 국채, 통안채를 매입해 외국인자금의 국내 금융시장 이탈을 언급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실제 잔고비중 변화를 보면 10년물 비중을 낮추고 1년물 비중을 높여 외국인이 판단하는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매력은 아직 유효한 것으로 풀이됐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금융불안을 겪고 있는 신흥국을 보면 재정 건전성보다 단기 유동성에서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급작스러운 외국인자금의 이탈이 발생하면 기업의 금융조달에 직접적인 타격이 가는 만큼 P-CBO나 채권안정펀드 등이 가동된다"며 "가계에 대해서는 연체금리 인하, 담보권 실행 유예와 같은 조치가 가능할 것이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