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향후 고령층 소비 여력 위축에 유의해야



(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고령화로 인한 가계 경제구조의 변화가 일본의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24일 해외경제포커스에서 '일본 가계의 경제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일본의 고령화 심화가 경제 내에서 고령층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 경제주체의 행태,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이같이 전했다.

한은은 고령화 진전과 함께 일본이 가계의 소득구조와 소비지출구조, 자산보유구조 등에서 큰 변화를 경험했다고 분석했다.

소득구조 측면에서 고령층의 가처분소득 증가는 미흡한 가운데 연금과 보험소득 비중은 크게 상승했다.

소비지출 구조도 소비성향이 높은 고령층의 비중이 1994년 76.5%에서 2016년에는 80.9%로 확대됐다.

자산보유구조를 보면 안전성 및 유동성 선호가 강화되면서 금융자산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 반면, 실물자산은 감소했다.

한은은 "일본 고령층의 소비 영향력 증대는 인구 감소에 따른 소비부진을 일부 상쇄했다"면서도 "향후 후기 고령자 비중 증가로 노동시장 참여와 소비가 위축되고 연금 등 사회보장비용이 늘어나면 거시경제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또한, 고령층이 안전성과 유동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로 인해 금융자산 수익률 저하가 지속될 경우에는 금융기관의 수익성 및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은은 "가계의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고하고 사회안전망 강화 등 소비 여력 확충을 위한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한은은 "우리나라 고령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일본의 고령층에 비해 소득수준이 낮고 안정성과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축적이 미흡하다"며 "향후 소비 여력이 위축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