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대전광역시와 충남지역의 주택경기가 침체하기 시작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5일 발간한 2018년 2분기 지역 경제보고서에서 대전·충남지역의 주택경기가 벌집 순환모형(Honeycomb Cycle Model) 상 3국면에 위치했다고 판단했다.

올해 1∼4월 주택 거래량이 줄어들고 가격 상승이 주춤거리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전 주택은 거래량이 줄지만, 가격은 뛰는 2국면에서, 거래량은 감소하고 가격 상승이 제한된 3국면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충남은 3국면에서 거래량과 가격이 동반 부진한 4국면으로 위축되고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지난해 세종과 대전은 전년 대비 각각 4.3%와 1.5% 집값이 올랐지만, 충남은 미분양 주택이 쌓이면서 0.5% 하락했다.

거래량은 세종이 23.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대전과 충남은 9.0%와 5.1%씩 감소했다.

대전은 세종과 인접한 유성구(-16.4%)와 서구(-10.1%) 등을 중심으로 거래가 크게 부진했다.

미분양은 심각한 상황이다. 작년 11월 기준 대전·충남 미분양은 1만1천686호로 전국에서 20.6% 비중을 나타냈다. 충남은 1만624호에 달했다.

반면 세종시는 2016년 4월 이후 미분양 주택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충남이 1천456호(전국의 14.4%), 대전이 222호(2.2%)에 이르렀다.

특히 한은은 대전·충남지역의 신규 주택공급물량을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계획을 기초로 추정하면, 2018∼2020년 연평균 4만1천 호가 공급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14∼2017년 평균 입주물량인 3만7천 호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세종의 경우에는 인구가 예상대로 늘어나지 않으면 계획된 주택공급물량이 조정될 여지가 있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김경근 한은 과장은 "지역 정책당국은 주택수요 변화에 맞춰 공급 시기를 조절하고, 기존 주택공급 로드맵을 주기적으로 재점검하고 수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세종으로 인구 유출이 대전과 충남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밀 분석하고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