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지난 몇 년간의 부동산 호황기에 바뀐 지표는 집값뿐만이 아니다. 가계부채 역시 급증하며 국내 거시경제 건전성의 핵심 위험요소로 떠올랐다. 정부는 유동성을 줄이고자 대출한도 등을 규제하기 시작했고 글로벌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서 빠져나오면서 금리는 인상 기조다.

부실 대출자 양산과 함께 수요 위축이 우려된다. 소득보다 빠른 집값 상승으로 실수요자들이 시장을 떠받치기는 무리일 수 있다는 전문가 진단이 나온다.

2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국내 가계대출은 1천382조원으로 집계됐다. 은행과 비은행을 모두 포함한 수친데 지난 2014년 1·4분기에는 1천조원을 넘지 않았다. 4년 만에 43.7%가 급증했다.





이중 예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이 983조5천억이다. 4년간 이 부문에서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만 165조원이 늘어나면서 오름세를 이끌었다.

전국의 집값이 이 시기에 많이 올랐다. 이전까지 전국 부동산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서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을 완화하도록 대출규제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특히, LTV를 70%까지 확대하면서 대출 수요가 급증의 도화선이 됐고 때마침 도래한 저금리 시대는 여기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했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기로 바뀌고 지역별로 주담대 상승세와 지역별 집값 추이를 보면 서울과 많이 닮았다.

전국에서 평균 집값이 가장 높은 자치구인 서울에 대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빚을 쌓아 집값이 올라가고 이를 쫓아 다시 빚을 지는 악순환의 시기다.

문재인 정부는 주택시장을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하고자 대출 한도와 자격 요건을 강화했고 예전처럼 적은 자기자본으로 집을 사기는 어려운 환경이 됐다. 금리도 미국을 중심으로 되돌림을 진행했고 우리나라도 금리인상 기조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서울 집값은 평균 소득인 가구도 이전보다 많은 부담을 느끼는 처지가 됐다. 일부 거품이 있다면 빠질 수 있는 환경인 셈이다.

주거실태조사에서 조사한 주택가격의 중위수를 연소득 중위수로 나눈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서울이 2014년에 8.3배였는데 2017년에 8.8배로 높아졌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 6.9배에서 6.7배로 내렸고 도지역도 4.2배가 4.0배로 하락했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앞으로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면 실수요자와 투자수요자 모두의 주택구매 의사가 둔화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최근에는 금리와 주택가격의 동반 상승으로 주택구매자의 비용 부담이 증가한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허 연구위원은 "일부 지역의 주택경기가 빠르게 하강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시장이 선행적으로 리스크를 반영하지 않았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