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재정개혁특위가 종합부동산세 누진세율 인상을 권고하면서 고가주택이 밀집한 서울 강남은 단기적으로 수요가 위축될 환경이 됐다. 1년여간 집중 규제로 집값 안정화를 꾀할 수 있지만, 우수한 일자리와 인프라(사회간접자본)에 따른 유입을 분산시키는 중장기 과제가 남았다.

4일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서울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의 중위 아파트 가격은 11억2천315만4천원으로 집계됐다.

강동구만 아직 6억원을 밑돌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10억원이 넘는다. 강남구의 중위 아파트 가격(13억4천500만원)이 서울 강남권에서 가장 높다.

전국 평균 아파트 중위값은 3억74만6천원이다. 서울 전체로는 6억6천만원대다.

이처럼 고가주택이 밀집한 서울 강남은 공정시장가액비율과 누진세율을 동시에 강화하는 재정개혁특위 권고안의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주택분 세율은 과표 6억원이 넘는 구간부터 인상되는데 사실상 대다수의 주택이 이 범주 안에 들어갈 전망이다. 투기지역 지정부터 재건축 규제, 보유세까지 집중포화를 맞은 강남은 수요가 위축될 처지다.

하지만 앞으로 강남의 수요를 일정 수준 이하로 묶을 수 있을지가 과제다. 좋은 일자리와 인프라가 형성된 강남은 줄곧 젊은층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이 서울의 자치구별 노령화 지수를 분석한 결과 강남은 서울 평균보다 노령화 지수가 낮았다. 강남 3구는 양천구와 함께 모두 100을 밑돌았다.





지난 10년간 노령화 속도 역시 강남은 서울에서 가장 느리게 진행됐다고 직방은 분석했다. 2009년 대비 2018년 5월 노령화 지수는 서울이 59.5포인트 증가했는데, 강남 3구는 서초구 32.6포인트, 강남구 41.0포인트, 송파구 44.6포인트 상승했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강남 3구의 노령화 지수가 낮고 증가도 상대적으로 느리게 나타나는 이유는 교육여건이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하기 때문이다"며 "학령기 자녀를 둔 가족의 인구유입을 유인하면서 상대적으로 젊은 도시지역으로 유지하게 하고 대기업 등의 우수한 고용여건도 주거수요를 유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 3구의 주택 가격이 워낙 높다 보니 자가거주 비중은 39.4%(2015년 기준)에 머물고 있다. 전국과 서울 평균은 각각 57.9%, 43.7%다. 잠재적 주택 매수가 언제든 급증할 수 있는 셈이다.

최 매니저는 "공공의 인프라 구축으로 발생하는 지역적 가치 상승을 공공이 흡수하거나 공공이 주택 제공에 적극적인 역할을 통해 가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입장벽을 낮출 필요가 있다"며 "강남 3구 외 지역으로 인프라 투자를 통해 수요를 분산시키거나 인프라 건설을 통해 발생한 이익을 타 지역으로 이전시켜 공공이 조정자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