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한국은행이 커지는 경기둔화 우려에 금리 인상 깜빡이를 끌지 주목된다.

11일 서울 채권시장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전일 발표한 경제 동향 7월호에서 넉 달 만에 '완만한 성장세'라는 문구를 뺐다.

소비와 내수, 투자와 생산, 고용 등 수출을 제외한 거의 전 부문의 지표가 나빠지면서 경기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을 고스란히 반영한 결과다.

그간 고수해왔던 경기 개선 추세 '유지'라는 말도 '완만'이라는 용어로 대체하면서 경기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점을 그대로 보여줬다.

민간소비가 주춤하다고 판단한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올해 부동산 경기 안정에 건설투자의 성장 기여도가 줄어드는 대신 민간소비의 기여도가 확대돼 성장세를 지탱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KDI는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하는 가운데 소매판매 증가 폭이 축소되고 소비 관련 서비스업 생산의 개선도 지연되는 등 민간소비의 개선 흐름이 다소 완만해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금통위를 며칠 앞두고 경기둔화 우려를 지적한 것은 KDI뿐만이 아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일 '한미 정책금리 역전 확대 및 외국인자금 유출 리스크 진단'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이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릴 경우 경기회복에 부담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표면적으로 나타난 한미 정책금리 역전 해소보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의 근본 원인인 부진한 경제 성장세 회복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경기둔화 압력이 커지자, 채권시장 참가자들의 관심은 한은이 통화정책 방향 문구를 수정할지에 쏠리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올린 후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 나갈 것이다'는 문구를 유지하고 있다.

증권사의 한 채권 딜러는 "7월 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낮추는 상황에서 다음 통화정책 방향으로 완화 축소를 명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방향 자체를 완전히 거두지 않겠지만, 문구를 일부 수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SG) 이코노미스트는 "고용 부진이 지속하는 등 현 상황에서는 수요측 물가압력이 올라온다고 볼 근거를 찾기는 어렵다"며 "결국 중요한 것은 성장률 흐름인데, 약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