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6월 신규 취업자 수가 간신히 10만 명을 넘기는 등 고용악화가 지속하고 있다.

정부는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할 때 신규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지만 이를 고려하더라도 신규 취업자 증가폭이 지나치게 작아 경기 요인 등을 고려해 정책 목표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통계청은 11일 지난 6월 신규 취업자 증가가 전년동월 대비 10만6천 명으로 5개월 연속 10만 명 이하로 밑돈 데 대해 인구증가폭이 둔화하고 있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6월 신규 취업자 증가폭은 작년 30만2천 명과 비교하면 20만 명이 부족하다.

그런데 같은 시기 인구증가폭이 32만4천 명과 23만7천 명으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작년 6월과 동일한 고용률을 가정했을 때 인구적인 요인으로만 5만 명가량 올해 신규 취업자 증가폭이 줄어들게 된다.

문제는 왜 15만 명이 더 감소했느냐는 점인데 전문가들은 제조업 구조조정과 주택규제에 따른 건설업 부진, 소비둔화 등을 원인으로 제시했다.

올해 6월 제조업 신규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2만6천 명 감소했다. 작년 6월에는 2만 명이 증가했다.

제조업 신규 취업자 증감은 올해 4월 6만8천 명 감소로 전환된 데 이어 5월 7만9천 명 감소 등 3개월 연속 감소했다.

건설업 신규 취업자도 1만 명 증가에 그쳤다. 작년 6월에는 15만4천 명이 증가했다.

건설업은 작년 정부의 8·2 대책 이후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통계청의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월대비 건설업 기성액 비율은 올해 3월 -0.6%, 4월 -1.5%, 5월 -0.4%다.

신규 수주액은 올해 2월 -2.0%, 3월 -6.0%, 4월 -15.9%에서 5월 8.7%로 한숨 돌린 상태다.

교육서비스업과 도소매·숙박음식업 신규 취업자가 각각 전년동월대비 10만7천 명과 3만1천 명 감소한 것은 소비둔화의 영향으로 풀이됐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조업 수출이 잘된다고 하지만 반도체나 석유화학 등 고용창출 기여도가 낮은 업종 중심"이라며 "사드 여파 이후 도소매·숙박음식업의 신규 취업자 회복도 속도가 더디다"고 말했다.

최경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지식경제연구부 부장은 "작년 6월과 신규 취업자 증가폭이 20만 명가량 차이가 나는 것은 인구효과 외에 제조업 구조조정, 소비둔화, 최저임금 영향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 부장은 "제조업 구조조정은 지금보다 나아질 수는 있겠지만, 한동안 지속할 것"이라며 "올해 신규 취업자 증가 목표인 30만 명이 너무 높다.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