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7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과 하반기 경제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이일형 금통위원은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소수의견을 냈다.

한은은 12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기준금리를 지난 11월 1.50%로 인상한 후 8개월째 동결 기조가 유지됐다.

◇ 성장률 하향 조정…이일형 위원은 소수의견

한은은 올해 우리 경제가 2.9%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2.8% 성장률을 전망했다. 4월 내놓은 성장률에서 각각 0.1%포인트씩 하향 조정된 수치다.

올해 성장률을 낮춘 데는 상반기 실적이 반영되었고,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에 따른 하방 리스크를 포함했다.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성장률 전망에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열 총재는 올해 성장률이 하향 조정됐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성장률 하향 조정이 금리 인상을 뒤집을 요인은 아니라는 의미다.

고용지표 부진에 대해 이 총재는 "최근 고용 상황이 부진한 것은 사실이다. 인구 구조의 변화, 자본 집약적 산업 중심으로 성장이 주도되고 있다는 점, 서비스산업의 생산성과 성장 속도를 고려하면 예년과 같은 30만 명 내외의 취업자 수 증가세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소비자물가는 1.6%를 유지했다. 지난 4월 0.1%포인트 낮춘 후 그대로 유지했다.

이 총재는 "물가가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상승률은 높아진다고 보고 있다"며 "4월에 봤던 성장과 물가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 미·중 무역분쟁 격화·빨라진 미국 금리 인상 속도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현실화하면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한 주요 원인이다.

미국은 지난 6일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전일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은 이에 맞설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무역분쟁이 격화했다.

통화정책방향은 "글로벌 무역분쟁 우려, 미 달러화 강세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됐다"며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등을 주의 깊게 살필 것이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처음에는 주요국간 무역분쟁이 크게 확산하지 않으리라고 봤지만 날로 확대되고 있다"며 "사실상 향방을 가늠하기 대단히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그런 조치가 시행에 옮겨진다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경계감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도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다.

미국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 인상한 1.75~2.00%로 결정했다. 이로써 한국과의 금리 차는 50bp에 달한다.

게다가 미국은 점도표도 상향 조정했다. 연내 네 차례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만약 미국이 기준금리를 하반기 중 두 차례 더 인상하고, 한국이 동결을 유지한다면 내외금리 차는 100bp까지 벌어진다.

다만 "주요 가격변수나 글로벌 자금 흐름 변동성이 매우 큰 상황에서 금리 역전 폭이 좀 더 확대되는 상황에서 투자자금이 유출되고 금리 역전 폭이 확대될 경우를 늘 경계하고 있다"면서도 "대규모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 통화정책 정상화 입장 변화 없어…금리 인상 시기는

이 총재는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일형 위원은 기준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냈다.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이 이전보다 명확해진 셈이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잠재수준의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목표 수준에 근접하게 된다면 그때 가서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기존의 입장에서 바뀐 것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에서의 소수의견이 공식적인 인상 시그널로 보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금통위 결정은 어디까지나 동결 유지고, 한 명이 소수의견을 내신 것이다"며 "공식적인 인상 시그널로 보는 것은 무리가 아닌가 싶다"고 신중함을 드러냈다.

이날 금통위의 금리 동결 배경이 대외 불확실성에 무게가 실린 만큼, 향후 미·중 무역분쟁의 전개과정이 금리 인상 시기를 가늠할 잣대가 될 전망이다.

이 총재는 "성장률 하향 전망은 상반기 실적과 글로벌 무역전쟁 등을 감안했다"며 "소비는 견실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