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확산되면서 국내 산업에 미칠 악영향이 우려되는 가운데 국내 업종의 경우에는 미·중 갈등으로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미중 갈등에 일부 품목 반사이익…장기화시 악영향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관세부과 품목은 중간재·자본재 비중이 높은 반면 중국의 대미 관세부과 품목은 자동차·농식품 부문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국내 수출품목 중에서 석유화학제품 및 첨단제품은 미국에서, 자동차 등은 중국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박천일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단장은 "미 통상법 301조에 따라 미국의 대중국 수입이 감소하면서 중국과 수출 경합도가 높은 한국 IT제품 등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중국산업연구부장은 "중국의 대외 개방 강화를 중국시장 진출 확대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며 "우리 부품 및 소재 기업이 중국 로컬 기업과 연계성을 강화해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미국산 석유화학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해 중국내 미국산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국내기업이 이익을 노릴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다만, 미중 무역마찰로 중국의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반사이익보다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영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철 부장은 "전반적인 미·중 교류의 위축, 경제 심리의 위축 등으로 중국 경제성장이 둔화되면 이로 인해 전반적인 수입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며 "금융시장 불안으로 환율변동이 심화돼 수출에 더 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 자동차업체 "반사이익 제한…미국 관세부과 우려"

자동차업계는 중국내 미국산 차동차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챙길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갈등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외 국가로부터 자동차 등 수입을 늘린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은 수입차에 대한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한편 미국에서 생산된 자동차에 25% 추가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함에 따라 맞불을 놓은 조치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차량과 경쟁하는 차종에 한정해 일부 반사이익을 누릴 수도 있다.

한 증권사 자동차분야 애널리스트는 "미국에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차종인 메르세데스-벤츠나 BMW와 직접 경쟁하는 차량이라면 가격 측면에서 혜택을 볼 것"이라며 "국내 메이커의 경우 당장 수혜를 보기는 힘들겠지만 제네시스를 론칭해 중국 진출하면 반사이익 누릴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의 중국내 판매차량 99%가 현지생산이란 점을 감안하면 반사이익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자동차업계의 대미 수출은 규모 자체가 클 뿐 아니라 전체 판매의 절반에 이를 정도다. 이 때문에 미국 상무부가 무역확장법 252조 적용 여부를 조사한다고 알려지면서 한국 정부와 자동차업계는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현대기아차의 경우 작년 사드 보복 등 여파로 중국 현지 공장의 가동률을 올리기에도 벅차 수출을 늘리려는 유인이 없다"며 "현재 가격경쟁력에 따른 반사이익보다 미국의 관세 폭탄 부과 등이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mj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