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금융감독원이 인사적체 해소를 위해 희망퇴직 도입을 검토 중이다.

다만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의 예산 지원 여부 등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실제 도입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1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인력 효율화 방안의 하나로 희망퇴직 도입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국책은행 등 금융 공공기관의 명예퇴직 활성화를 위한 관련법 개정과 예산 편성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금감원도 이에 편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정 수준 이상의 퇴직금을 줄 수 있다면 어느 정도 희망퇴직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현재 금감원은 희망퇴직 제도가 없다. 그렇다 보니 간부급 인사적체는 심각한 수준이다.

작년 말 기준 전체 직원 1천958명 가운데 3급(팀장) 이상이 932명(48%)에 달한다.

올해 팀장 승진 경쟁률은 10대1에 육박했고 규모도 예년의 절반에 그쳤다. 승진자 평균 연령은 48세로 금융회사에서 임원에 오를 나이다.

선배들이 빠져나가야 후배들이 그 자리를 이어받는데, 위에서 인력이 쌓이다 보니 인건비만 늘어나고 조직 효율성은 떨어지는 구조다.

금감원은 이 같은 고질적인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희망퇴직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퇴직을 원하는 사람은 임금피크제 적용 5년간 받을 수 있는 임금을 한꺼번에 받고 나갈 수 있는 퇴로를 열어줘야 인력 물갈이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임피제에 들어갔거나 보직을 받지 못한 일부 직원들은 희망퇴직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예산이다.

금감원이 희망퇴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재부와 금융위의 예산 승인이 필요하다. 현재 금융위는 금융공기업의 퇴직금 총액을 늘려 희망퇴직을 활성화하자고 주장하고 있지만, 기재부는 예산 증액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금감원 노조는 작년에도 명예퇴직 도입을 추진했지만, 기재부가 한꺼번에 많은 돈을 쏟아붓는 데 부정적인 입장을 내보이며 무산됐다.

특히 금감원은 지난해 감사원으로부터 방만 경영 지적을 받으면서 예산 통제가 더욱 강화되는 분위기다.

금감원의 올해 예산은 3천624억5천700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1% 삭감됐고, 금융회사로부터 받는 감독분담금도 8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세월호 사건 이후 강화된 취업제한 규정도 걸림돌이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금감원 4급 이상 퇴직자는 퇴직 전 5년간 근무했던 기관이나 부서 업무와 관련 있는 기업·로펌 등에 퇴직 후 3년 동안 재취업할 수 없다.

금감원 관계자는 "퇴직금을 받고 나가도 재취업이 막막하니 일단 버텨보자는 직원들이 많지만, 한편으로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고자 희망하는 시니어 직원들도 상당하다"면서 "시중은행 수준까지는 못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 퇴직금이 지급된다면 일시적인 비용 부담을 감내할 만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hj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