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한용 기자 = 정부가 올해 3% 경제성장 전망을 철회해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가 낮아질 전망이다.

정부는 18일 발표한 '하반기 이후 경제여건 및 정책 방향'에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2.9%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말 제시한 3.0%보다 0.1%포인트(p) 낮다.

건설ㆍ설비투자 부진이 계속되고 소비심리도 약화한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으로 그간 우리 경제를 지탱해 온 수출이 고꾸라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또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제시해 올해 예상치보다 0.1%p 낮아질 것으로 봤다.

정부의 이런 전망은 이달 12일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로 4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춘 후에 나온 것이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도 2.8%로 당초 전망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한은과 정부가 잇달아 올해 3% 성장 목표를 포기하면서 채권시장에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연내에 기준금리를 쉽게 올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당초 3분기로 예상됐던 금통위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시점이 4분기로 지연된 데 이어,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상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는 의미다.

증권사 채권 딜러는 "한은과 정부가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경기 하강론이 힘을 받게 됐다"며 "아직 연내 한차례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하지만, 동결 가능성도 있게 됐다"고 말했다.

다른 딜러는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은 외국인 자본의 급격한 유출 조짐은 없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경기 부양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상황이 온다면 한은이 독자 노선을 걷긴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사 딜러는 "해외 IB들은 최근 무역분쟁 리스크가 국내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며 "미국의 대중 관세부과가 중국과 전 세계 경제성장률뿐 아니라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의미에선 정부와 한은의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은 이미 예고됐던 것"이라며 "큰 틀의 경제 지평이 변화한 만큼 통화정책과 관련한 시장의 컨센서스도 앞으로 조정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hy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