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시중은행의 자동차 대출 규모가 큰 폭으로 늘어나자 금융감독원이 밀착 모니터링에 나서기 시작했다.

대출시장 규모가 급성장하면서 소비자 보호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커지고, 가계대출의 또 다른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초부터 시중은행 자동차 대출 규모와 금리 수준은 물론 대출 상품의 여러 위험 요소들에 대한 동향 파악에 나섰다.

지난달 말 기준 농협ㆍ신한ㆍ우리ㆍKB국민ㆍKEB하나은행의 자동차 대출 잔액은 3조6천649억 원에 이른다.

작년 말 1조9천264억 원에 그쳤던 대출 잔액이 반년 새 1조6천억 원 넘게 급증했다. 2016년 말 채 1조 원도 되지 않았던 것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가파르다.

시중은행들은 그동안 캐피탈사들이 주도하던 자동차 대출시장에서 낮은 금리와 비대면을 활용한 대출절차 간소화 등을 무기로 고객에 파고들고 있다.

주요 은행들의 신차 대출의 평균 금리는 3∼5% 수준이다.

금감원은 단기간 내 대출이 급증한 만큼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보호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자동차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나 일반 신용대출과 달리 '대출철회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자동차 구매 계약을 취소해도 이미 신청한 대출을 철회하기 어려운 구조다.

보증보험사와의 협의를 통해 이를 해결할 방안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자동차 대출이 전체 가계대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자동차 대출 급증이 주택담보대출을 막으면 신용대출이 급증하는 식의 풍선효과와는 연관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대출 총량을 규제하려는 정부 방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자동차 대출 상품 자체가 안고 있는 위험 요소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았다는 점도 고려 요소다.

무엇보다 은행 간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현재 자동차 대출은 신한은행이 압도적으로 많다. 6월 말 기준 신한은행의 대출 잔액은 2조5천억 원으로 전체 은행권에서 72%의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다른 시중은행들도 대출 규모를 확대하고 있는 데다 캐피탈사들도 이에 맞서 경쟁 강도를 높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단 소비자에게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을 예방하자는 차원에서 시장을 보고 있다"며 "아직 절대 규모 자체가 적지만 향후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해 두루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