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인포맥스) 곽세연 특파원 = 아시아 정크본드 시장이 중국의 부채 문제를 우려하며 수년간의 성장을 끝내고 균열을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9일 보도했다.

투자등급 이하의 아시아 채권 가격 하락으로 수익률이 가파르게 올라가면서 채권자들이 큰 손실을 보게 됐고 만기 상황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8월에 5.125%로 5년간 빌릴 수 있었던 애자일 그룹 홀딩스는 이번 달에 3년 만기 채권에 8.5%의 쿠폰을 제공해야 했다. 중국 개발업자들이 최근 예정됐던 다른 채권을 상환하지 못해 투자자들을 화나게 했기 때문이다.

절대적인 수익률 상승에 따라 유로의 미래에 대한 의심이 시장을 흔들었던 2011년 이후 최근 아시아 정크본드 시장은 최악의 매도세를 보인다고 WSJ은 지적했다.

ICE BoA 메릴린치 지수에 따르면 올해가 시작될 때만 해도 달러로 발행된 아시아 정크본드의 금리는 글로벌 시장과 일치했다. 현재 1천381억 달러 규모의 국채, 회사채 등의 아시아 채권 수익률은 2%포인트 올라 세계 평균을 상회했으며 최근에는 9%를 웃돌고 있다.

이는 미국 금리 인상, 달러 강세, 무역 분쟁 등에 대한 아시아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산더미로 쌓인 부채의 만기가 다가오지만, 중국 정부는 예전처럼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막고 있지 않다. 아시아에서 만기가 된 달러 표시 정크본드의 거의 4분의 3가량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신규 발행에 해당한다.

인베스코 홍콩의 켄 후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굵직한 뉴스들이 아시아 차입자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고 있다"며 "무엇보다 변동성 증가, 디폴트, 무역 등 헤드라인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이 아직 정크본드를 버리지는 않았지만, 더 조심하고 있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에서 신규 기업의 하이일드 채권 판매는 불과 1년 전보다 1%가량 감소한 21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피델리티의 브라이언 콜린스 아시아 채권 대표는 "채권 가격이 내려가면서 이런 자산에 투자 경험이 적은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촉발됐다"며 "지난 몇 년간 여러 번 이런 상황을 봤다"고 말했다.

후 CIO는 "만약 중국에서 디폴트 금리가 두 배가 된다면 8~10%의 수익률은 위험과 수익 사이의 매력적인 매매 기회가 된다"고 강조했다.

sykwak@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