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 아시아지역 정크본드가 쓰레기 취급을 받는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글로벌 달러 강세와 중국 내 부채 증가, 무역 분쟁 등으로 아시아 1천380억달러의 고금리 시장이 흔들린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투자적격등급 미만의 아시아 채권 가격이 내려가며 채권 보유자의 대규모 장부 손실로 이어진다는 게 신문의 설명이다. 동시에 만기도래하는 채권의 재투자 전망도 불투명해졌다.

일례로 홍콩에서는 지난해 8월만해도 5년물을 5.125%에 차입할 수 있었던 애자일 그룹(Agile Group)이 이달 들어 3년 만기 채권에 대해 8.5%의 표면금리를 제시해야 했다. 이 회사는 다른 부채에 대한 바이백에 실패해 투자자의 큰 원성을 산 바 있다.

절대적인 금리 상승으로 측정하는 채권 매도세는 지난 2011년 유로존 위기 이후 최악으로 평가됐다.

ICE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메릴린치에 따르면 달러표시의 아시아 정크본드 금리는 올해 초순만 해도 전반적으로 글로벌시장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지금은 정부채와 회사채 총 1천381억달러를 대표하는 아시아 지수의 금리 수준이 9%까지 치솟으며 세계 평균보다 거의 2%포인트 웃돌기 시작했다.

이렇게 아시아 정크본드 금리가 급등한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글로벌 달러 강세, 무역 분쟁과 같은 글로벌 압력에 아시아 시장이 취약했기 때문이다. 특히, 아시아 지역 내 문제점도 영향을 미쳤다.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만기도래하는 달러표시 정크본드의 4분의 3 가까이 중국이 발행했다. 신규 발행물의 상당수도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산더미 같은 부채의 만기가 다가오지만, 중국 중앙 정부는 이전처럼 디폴트를 막아내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 지난 5월 중국국저능원화공집단고분공사(China Energy Reserve and Chemicals Group·CERCG)가 보증한 자회사 채무에서 만기내 원금상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런던의 헤르메스 투자운용의 미치 레즈닉 크레디트부문 공동 헤드는 이에 대해 "신용등급과 구제금융에 의존하는 투자자에게 교훈이 됐다"며 "CERCG의 채무불이행은 신념에 기반을 둔 투자자가 지옥으로 가는 것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런던의 주피터자산운용의 알레한드로 아레발로 펀드매니저는 "위안화 표시 채권의 디폴트도 늘고 있다"며 "이는 정부가 취약 기업의 운명을 시장이 결정하게끔 놔둔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아시아 정크본드에 투자하는 일부 전문 펀드도 고통을 겪고 있다.

알리안츠 글로벌 인베스터스가 운용하는 관련 펀드의 순자산은 지난 3월 이후 3개월 사이 약 2억5천만달러 가까이 감소했다. 피델리티 인터내셔널의 아시아 하이일드 펀드는 자산 규모가 지난 1월 이후 13% 가까이 급감하며 6월 현재 40억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피델리티의 브라이언 콜린스 아시아채권 헤드는 "채권 가격이 내려가면서 관련 투자 경험이 적거나 차입 자금으로 투자하는 투자자의 매도세를 촉발했다"고 전했다.

다만, 일부 투자자는 혼란 속에서 기회를 찾고 있다.

홍콩 인베스코의 켄 후 아태지역 채권 담당 CIO는 "중국 내 디폴트율이 두 배로 증가하더라도 수익률 8~10%는 위험과 수익 사이에서 매력적인 절충안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헤르메스의 레즈닉 공동 헤드는 "투자자는 이제 가치 있는 기회를 무시할 수 없다"며 "크레디트 리스크를 적절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ywkw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