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증권투자 등 대외자산이 증가하면 외환시장의 유동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외환 당국의 외환보유액, 민간의 거주자 외화예금과 마찬가지로 대외자산 역시 일종의 외환시장 버퍼(완충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9일 '민간의 대외자산이 외환시장 유동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서 31개국 외환시장을 회귀분석한 실증 결과를 내놓았다.

대외자산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낮은 직접투자자산을 제외하면 정부의 외환보유액뿐만 아니라 민간의 증권투자자산, 기타투자자산이 모두 늘어날수록 유동성을 높였다.

비거주자로부터의 대외부채는 대체로 외환시장 유동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대외자산과 대외부채의 비대칭적인 분석결과는 해외 투자가 금융위기를 진정시킬 수 있는 버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05∼2006년 증권투자자산, 기타투자자산, 외환보유액이 증가해 항목별로 매입-매도 스프레드를 각각 5% 정도 낮춘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2000∼2017년 거주자외화예금과 달러-원 환율 증가율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0.45)가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외환보유액을 제외하고 민간이 가진 대외자산은 1997년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20%에서 지난해 말 70% 수준까지 확대했다.

평균 수명 연장과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준비 등으로 저축성향이 높이지 데다, 기업의 해외 투자 활동이 확대했기 때문이다.

박성욱 연구위원은 "민간 대외자산 증가세는 외환 당국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