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부동산 등 비유동자산이 많고 부채가 높은 가계가 많아질수록 경기침체가 왔을 때 장기화하거나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소비가 소득 증가보다 소득 감소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송상윤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30일 '가계의 레버리지와 유동자산이 한계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비유동성 자산을 선호하고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우리 경제에서 가계소비가 소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소득이 낮은 가계뿐만 아니라 소득이 높은 가계라도 부채가 많거나 유동자산이 적으면 한계소비성향이 높다고 설명했다.

주택, 연금 등 비유동자산이 많지만, 예금, 주식, 펀드 등 유동자산은 적은 부유한 가구(Wealthy Hand-to-Mouth)와 비유동자산과 유동자산이 모두 적은 가난한 가구(Poor Hand-to-Mouth)로 구분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비유동자산 선호현상으로 한계소비성향이 소득따라 일률적으로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2012~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레버리지가 높아질수록 한계소비성향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자산이 세후 월 소득의 약 1.5~2배를 넘지 않는 가계는 이를 넘는 가계보다 한계소비성향이 더 높았다.

유동자산비율이 임계치보다 낮고, 레버리지가 높은 가계의 한계소비성향은 소득 증가 가구보다 소득 감소 가구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부채가 많고 유동자산이 부족한 가계는 부채상환을 위해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소비를 늘리지 못했다. 반면 소득이 감소할 경우 소비를 많이 줄이게 되어 소득 증감에 따라 한계소비성향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났다.

송 연구위원은 "경기침체가 오면 소득이 줄어드는데, 부채가 많고 유동자산이 부족한 가계가 많을 경우 소비를 더 많이 줄이게 되면서 경기침체 국면이 심화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