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윤정 기자 = 하나금융투자의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해외 선물·옵션거래 중단 조치 이후 증권업계가 노심초사하고 있다. 제도 정비 등에 나서며 미연의 사태를 방지하고자 하는 모습이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는 이달 말부터 개인정보제공에 미동의한 고객을 대상으로 해외파생 거래를 제한하기로 했다. 이 경우 해외 파생상품에 대한 신규주문은 불가능하고, 보유한 포지션의 청산만 가능하다.

미래에셋대우는 해외 파생상품 거래소의 규정에 따라 고객정보 보고가 필요해졌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해외 파생 고객들이 개인신용정보 공개에 동의해야 한다고 고지했다.

하나금융투자도 지난 3월 미래에셋대우와 같은 이유로 개인정보 공개에 동의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 당시 CME가 일정 기간의 고객 거래 내역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했고, 천여 건이 넘는 계좌가 해당했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고객들에게 정보 공개 동의를 요청한 것이다.

그러나 CME는 하나금융투자가 정보제공이 불성실했다는 이유로 5월 거래 정지 조치를 내렸다. 계좌 소유자, 거래 권한자에 대해 불완전하고 부정확한,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해 시장 규정 위반이 의심되는 거래에 대한 조사를 방해한다는 이유였다.

이후 CME는 하나금융투자가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히며, 지난달 거래 정지 조치를 해제했다.

하나금융투자의 CME 거래 중단 사태를 목격한 이후, 금융투자업계에서도 속속 미비했던 제도 정비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미래에셋대우는 지난달 말 '해외 선물옵션 대여계좌 제공 사설업체 주의'에 대한 경고문을 게재하기도 하며, 유사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해외 파생상품의 경우 감독기관과는 달리, 거래소에 대해 고객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없어 그간 미비했던 점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해외파생은 주식처럼 포지션을 쌓아놓고 거래하기보다는 데이트레이더가 많아 개인정보제공에 전수 동의를 얻기 힘든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로 비칠 수는 있으나, 일부 증권사가 거래 정지 처분을 당한 선례가 있어 해외 파생거래를 하는 증권사들도 서둘러 제도를 정비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yjhw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