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남북경제협력이 본격화하면 먼저 추진될 것으로 보이는 개성공단에 대한 추가 사업이 중국에 비해 월등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 개발사업에 국내 공기업이 개입할 가능성이 커 동반 진출하는 건설사들도 리스크가 제한적이라고 평가됐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건설·부동산 연구위원은 7일 열린 '한반도 통일경제 포럼'에 '개성공단으로 본 북한 경제개발구의 미래' 발표를 통해 "북한은 현재까지 개성을 포함해 27개의 경제개발구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며 "경제개발구는 외국자본의 투자를 위한 물리적 토대이자 북한식 개혁개방의 실체다"고 말했다.

북한 경제개발구는 총 3억7천400만평(3.3㎡)을 아우른다. 북한은 이 토지와 노동력을 제공하고 외국자본은 전력과 통신 등 인프라(사회간접자본)와 자재, 장비, 전문인력 등을 투입한다. 5대 중앙급 경제특구(신의주, 황금평·위화도, 나선, 원산-금강산, 개성)와 22개 지방급 특구로 구분된다.

북한의 여러 경제개발구 계획에도 유의미한 투자유치가 나온 곳은 사실상 개성공단이 유일하다고 채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사업 영속성에서 불확실성이 큰 탓에 북한에 외국자본이 들어오기 어려운 현실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개성공단에서 1억원의 매출액이 나오면 북한에는 60%가 유입되고 우리나라에는 나머지 부분이 부가가치를 유발한다고 채 연구위원은 진단했다. 개성공단은 지난 2015년에 최고 5억6천300만달러의 생산액을 기록했다.

개성공단은 인건비와 토지사용료가 낮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혔다. 개성공단 인건비는 한 달에 63.8달러 수준인데 중국 청도(194달러) 대비 32.9% 수준이다. 토지사용료는 중국 청도의 최대 6분의 1까지 저렴하다.

이런 실적을 바탕으로 남북한 관계개선과 경제협력이 진행되면 개성공단 2단계에 대한 추가 투자가 기획될 것으로 채 연구위원은 내다봤다. 해당 프로젝트에 국내 공기업이 참가해 국내 건설사들도 제한적인 리스크로 진출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채 연구위원은 "현대아산의 자금력을 고려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한국도로공사, 철도공사가 개입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공기업의 발주를 받는 우리나라 내 건설사들은 사실상 리스크 제로라고 봐도 무방한 형국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개성공단과 유사한 방식으로 나머지 26개 경제개발구를 개발할 것이다"며 "우리나라 건설사들은 이러한 구도 속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보수적 입장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