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이동통신사들의 LTE(롱텀에볼루션) 원가가 이르면 이번주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실적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이동통신사에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8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참여연대는 지난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정보공개를 요청한 이동통신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LTE 원가에 대한 답변을 받았다.

참여연대는 이 답변내용을 분석한 후 입장을 정리해 이르면 이번주 안에 외부에 공표할 예정이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LTE 원가에 대한 과학기술정통부의 답변을 받은 만큼 이에 대한 분석과정을 거쳐 이르면 이번주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여연대는 지난 6월에는 2G와 3G 이동통신에 대한 공개청구에 나섰고 이에 대한 내용을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이동통신 3사는 초기 투자비용을 쏟아부은 이후 이익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가 답변한 자료에는 각 이통사의 영업통계상 원가보상률이 통용됐다. 원가보상률은 영업수익에서 총괄원가로 나눈 값으로 100%가 넘으면 투자 대비 수익이 나는 것으로 본다.

지난 1996년 상용화된 2G의 경우 업계 1위 SK텔레콤이 2005년 112.17%의 원가보상률을 기록한 이후 2006년 123.08%를 기록하며 120% 부근을 유지하다가 지난 2008년에 134.99%로 올라섰고 2010년에 140.65%까지 치솟는다.

시민단체의 주장대로라면 SK텔레콤은 지난 2005년 이후에는 투자에 따른 비용부담 없어 수익성을 많이 늘린 셈이다.

KT는 2005년 108% 부근에서 감소추세를 보이며 2009년에는 80%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3G의 경우 SK텔레콤과 KT가 모두 2008년까지 100% 미만이었고 2009년부터 100%를 넘어섰다.

이처럼 이통사별로 원가보상률에 차이는 존재했다.

참여연대는 이통 3사의 2G와 3G의 원가보상률만으로 현재 요금제가 얼마나 비싸게 책정됐는지 비교하기 어렵다고 결론을 짓고 LTE에 대한 정보공개청구에 나섰다.

물론 국내 이통사들은 원가보상률이 수익을 추구하는 민간기업에 적용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원가보상률은 공기업이 제공하는 전기나 수도, 가스 등 요금이 적정하게 설계돼 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라 할 수 있다"면서 "수익을 추구하는 민간기업의 요금 적정성과 연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게 정설이다"고 설명했다.

참여연대는 LTE 원가의 공개 내용을 분석한 후 보편요금제 도입 등 정부가 추진하는 요금인하 정책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참여연대는 "LTE 원가에 대해 철저히 분석한 후 이통사들의 요금인하 여력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후속조치를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TE 원가공개에 따른 요금인하 압박이 현실화될 경우 이통사들에는 어떤 형태로든 부담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한편, 이통 3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요금할인 등 영향으로 2분기 연속 10% 이상 크게 떨어지며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에 비해 2천415억원 급감했다.

msbyu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